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이버위협이 증가하고 있어 선제적 방어를 위해 4일 오전 11시 30분부로 사이버위기 ‘관심’ 경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사이버위기 경보단계는 정도에 따라 ‘정상→관심→주의→경계→심각’으로 구분한다.
최근 국내·외 기업의 랜섬웨어(컴퓨터나 중요 파일을 강제로 암호화한 뒤 피해자에게 돈을 요구하는 프로그램) 피해와 악성코드 감염, 재난지원금 관련 피싱 증가 등 사이버공격이 잇따라 일어나고 있는 데 따른 조치다.
위기경보 ‘관심’ 상향에 따라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는 비상근무체계에 돌입한다. 악성코드 유포 및 디도스(DDoS·분산서비스 거부) 공격 등 사이버 위협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확대하고 유관기관 공조 강화 등 대응 태세를 강화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5차 재난지원금 관련 문자 안내가 많아 스미싱 피해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스미싱 문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인터넷주소(URL) 클릭에도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기업은 중요 백업자료 안전성을 재점검하고 PC 및 서버 보안 조치를 강화해 달라”라며 “랜섬웨어 피해 발생 시 즉각 국번 없이 ‘118’번 또는 랜섬웨어 전용 홈페이지로 신고해 달라”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