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특사가 이란과의 핵 협상에 대해 비교적 유연한 입장을 보인 지 하루 만에 강경 노선으로 선회했다.
15일(현지 시각)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특사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최종 합의는 중동의 평화와 안정, 번영을 위한 틀을 정립해야 한다”며 “이란은 핵 농축과 무기화 프로그램을 중단·제거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협상은) 지속 가능하고 강력하며 공정해야 할 것”이라며 “이것이 대통령이 내게 요청한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강경한 발언은 그가 전날(14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란과의 핵 협상 목표로 핵 프로그램 전면 폐기 대신 우라늄 농축 제한을 제시한 것과는 배치된다.
위트코프 특사는 인터뷰에서 “이란은 3.67%를 넘겨 (우라늄을) 농축할 필요가 없다”고 발언한 바 있다.
여기서 언급된 3.67%는 트럼프 1기 행정부가 폐기한 오바마 정부 주도의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상 농축 제한으로, 이는 핵 프로그램 전면 중단이 아닌 농축 수준에 따른 협상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해석을 낳았다.
하지만 해당 발언이 미국 내 강경 보수층과 이스라엘 측 반발을 사자 위트코프 특사는 입장을 번복한 것으로 보인다.
농축 수준 제한은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를 비롯한 이스라엘 강경파가 추구하는 이른바 ‘리비아식 합의’와는 거리가 있다. 이는 핵 개발에 필요한 물질과 장비, 자료 등을 넘기고 비핵화 검증 뒤 보상하는 방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에 대해 “핵무기는 절대 가질 수 없다”는 점을 상기하며 핵 협상을 강도 높게 압박하고 있다. 다만 구체적인 협상 목표를 공개적으로 언급한 적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트코프 특사 등 미국 측 대표단은 지난 12일 오만에서 이란과 회동했으며 19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다시 만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