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상호관세 정책에 맞서 짐바브웨, 대만, 베트남 등이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철폐 또는 무관세 협상 의지를 밝히고 나섰지만 미국 측은 ‘불충분하다’며 냉랭한 반응을 보였다.

에머슨 음낭가그와 짐바브웨 대통령이 지난해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로이터

짐바브웨의 에머슨 음낭가그와 대통령은 지난 6일(현지 시각) X(옛 트위터)에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던 모든 관세를 유예하도록 지시하겠다”며 “이는 미국과의 상호 이익에 기반한 긍정적인 관계를 위한 조치이며, 짐바브웨의 대미 수출 확대도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모든 국가와 우호 관계를 지향하며, 적대적 외교는 지양한다”고도 덧붙였다.

이어 대만과 베트남도 미국과 무관세 협정을 목표로 협상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총괄하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 고문은 “단순한 관세 철폐는 미국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미국은 관세 정책을 통해 제조업의 본국 회귀(리쇼어링)를 실현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다시 말해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낮추는 정도로는 관세 유예나 감면이 어렵다는 뜻이다.

앞서 미국은 지난 5일 10%의 기본 관세를 시행한 데 이어, 8일에는 57개국에 대해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이후 채 하루도 지나지 않아 일부 국가에 대해서는 90일 유예를 결정했다. 짐바브웨에는 18%의 상호관세가 예고돼 있었다.

음낭가그와 대통령의 관세 유예 선언은 미국의 유예 조치 발표 이전에 나온 것으로 이후 실제 짐바브웨의 대미 관세가 철폐됐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