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역이 일주일 넘게 북극한파에 시달리면서 89명이 숨지는 등 피해가 속출한 원인으로 기후변화가 지목된 가운데 뉴욕주 등 미국 일부 주에서 학교 수업에 기후변화를 하나의 과목으로 도입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2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뉴욕 북부 브롱크스에 있는 공립학교 교사인 크리스티 뉴메이스터 교사는 지난 여름 나흘 동안 진행된 ‘뉴욕시 공립학교의 기후 교육 통합’이라는 강의를 들었다. 뉴욕시 전역의 초등학교 교사 39명이 해당 강의를 수강했는데 이 강의의 목표는 교사들이 기후변화라는 주제에 익숙해져 수업 계획에 기후 변화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미국 테네시 주 내슈빌에서 겨울 폭풍으로 후륜 구동 차량이 멈춰서자 사람들이 자동차를 밀고 있다. / AP 연합뉴스

뉴욕시는 남은 점심을 퇴비로 만들고, 학교 건물을 탈탄소화하고, 고학년 학생들이 청정 에너지 부문에서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리큘럼을 마련 중이다. 또한 오는 2월, 뉴욕 교육부는 미국 교사연맹과 함께 기후 변화 교육 세션을 공동 주최할 예정이다.

앞서 미국 뉴저지주는 지난해 기후변화 수업을 미국 내에서 최초로 의무화했다. 뉴욕에서도 유사한 법안이 검토 중이다. 그중 하나는 모든 학년과 과목에 걸쳐 기후변화를 가르치도록 하는 것이다. 해당 법안은 115명 이상의 교육자 및 국립야생동물연맹과 같은 비영리 단체의 지지를 얻고 있다. 제임스 샌더 상원의원(민주당)은 과학 수업에 기후 변화를 도입하는 내용의 법안을 제안한 바 있다.

뉴저지주와 뉴욕주 외에 코네티컷주, 캘리포니아주는 기후변화를 학교 커리큘럼에 적극적으로 포함하려고 한다. 반면 텍사스, 버지니아, 플로리다 등은 반대 입장이다. 보수적인 주일수록 반대에 직면한다는 것이 NYT의 분석이다. 물론 기후변화 관련 교육을 수용하는 지역에서도 일부 반발이 있다. 코네티컷의 존 피스코포 하원의원(공화당)은 인간이 만든 온실가스가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지 여부에 대해 더 많은 의문을 포함하도록 하는 표준을 개정하기를 원하며 반대 입장을 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NYT는 “수많은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지구가 온난화하고 있으며, 미국 일반인의 약 60%는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인간이라는 데 동의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