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아시아에서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를 가장 적극적으로 도운 나라라는 분석이 나왔다.
영국 텔레그래프지는 21일(현지 시각) 러시아 침공 이후 57개국의 우크라이나 지원 정도를 평가해 이같이 발표했다.
텔레그래프지는 각국의 ▲러시아와의 무역 ▲우크라이나에 대한 경제적·군사적 지원 ▲중화기 제공 현황에 부문별로 1∼4점을 부과하고 그 평균값을 구해 비교했다. 최근 대러 수입액은 전쟁 전 3년간 평균과 비교하고, 각국이 발표한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주의적·경제적 지원과 군사적 지원을 국내총생산(GDP) 대비로 분석했다. 또 중화기 제공 규모는 각국이 보유한 물량에 대비해서 평가했다.
텔레그래프지는 평균 점수 기준으로 1점 이하, 1.25∼2점, 2∼3점, 3점 이상으로 4단계로 분류해 표를 만들었다. 단, 구체적인 점수나 순위는 공개하지 않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2점대 하위권으로 전체 27번째이고, 일본은 1.25∼2점 중 상위권으로 30번째다.
폴란드·영국·체코·노르웨이·미국 등 18개국은 3점대로 적극 지지 국가로 분류됐다. 가장 소극적인 15개국엔 우즈베키스탄·멕시코·이집트·세르비아·중국·이스라엘·인도 등이 있다.
개별 국가별로 가장 적극적인 폴란드는 GDP 대비 경제적 지원 규모가 세계 3위였고, 영국은 전후 러시아산 수입을 97% 줄였다.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 등은 GDP의 1% 이상을 우크라이나에 지원하는 등 적극적이었고 체코는 보유 전차의 20%를 보내기로 했다.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이 대체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선 가운데, 헝가리는 EU 회원국 중 우크라이나 지원에 가장 소극적이었다. 텔레그래프지는 헝가리의 지난해 11월 기준 러시아산 수입이 3년 평균과 비교해 262% 많았고, 우크라이나에 개별적으로 군사적·인도주의적 지원을 거의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겉으로는 유엔을 통해서 러시아를 규탄하면서 우크라이나에는 평화회담을 권했고, 지난해 6월 EU의 제재 패키지를 지지했지만 세부 사항에 들어가서는 발을 질질 끌었다고 전했다.
헝가리와 함께 슬로베니아·불가리아·그리스·스페인 등 5개 EU 회원국은 전후에 러시아산 가스 등 수입이 50% 이상 늘었다.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 등 수입이 8배로 뛰었고, 중국도 약 40% 늘었다. 두 나라 모두 인도주의적 지원은 GDP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다만 프랑스 등은 분석 대상 기간의 러시아 수입 관련 데이터를 아직 공개하지 않아서 이번 분석에선 빠졌다고 텔레그래프지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