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대(對)러 경제 지원을 지시했다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28일 보도했다.

요미우리는 이날 시 주석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태도 표명을 유보하면서도 미국과 유럽의 제재와 관련해서는 러시아를 지원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27일 파악됐다고 보도했다.

구체적으로는 중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중국 공산당은 지난 24일 왕이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국가안전부장, 상무부장, 군 간부 등이 모인 긴급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협의했다”며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러시아는 대만 무력 통일 지지를 표명한 적이 없으므로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당분간 태도를 표시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밝히고 “‘위법한 미국·영국의 제재 아래 있는 러시아를 경제·무역 면에서 지원하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요미우리에 따르면 시 주석은 당시 회의에서 영국·프랑스·독일과의 관계 유지와 우크라이나에서 사업하는 중국 기업의 안전 및 이익 확보를 요구하고, 러시아의 군사작전을 연구하라는 명령도 내렸다.

2022년 2월 4일 중국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정상회담을 앞두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두 정상은 이날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회담을 가진 뒤 에너지·금융·우주 등 15개 분야 협정을 맺고 준동맹 수준의 공동 성명을 채택했다. /스푸트니크 연합뉴스

시 주석은 회의 다음 날인 25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전화 회담에서 “각국의 합리적인 안전에 관한 우려를 중시·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같은 날 중국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철수를 요구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에 기권표를 던졌다. 왕이 외교부장은 당시 안보리 토론에 참석해 ‘무력 사용 권한 부여’와 ‘제재’ 표현 사용에 반대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 부장은 26일 아나레나 베어복 독일 외무장관과의 통화에서도 “중국은 제재 수단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찬성하지 않고, 국제법에 근거하지 않은 독자 제재에는 더욱 반대한다”며 “제재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새로운 문제만 만들어 낸다”고 주장했다. 또 “다섯 차례 연속으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동진(東進)한 상황에서 러시아의 정당한 안보 요구는 적절히 처리돼야 한다”며 러시아의 입장에도 손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