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서 발생한 대홍수로 사망자가 166명으로 늘어났지만 무선 네트워크 통신 복구 작업이 지연돼 연락두절 상태인 실종자가 여전히 1000명대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독일 dpa통신 등 외신이 20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현지 언론과 야권에선 재해대책이 후진국 수준이라며 총체적 실패라는 비판이 나온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기준 대홍수로 인한 사망자는 라인팔트-팔츠주에 117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47명, 오버바이에른 베르히테스가덴에 2명으로 모두 166명이 됐다. 특히 라인란트-팔츠추에선 실종자가 네자릿수에 달한다. 지역 당국은 현재 사망자 가운데 신원이 확인된 사람이 3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독일 일간 디 벨트(Die Welt)는 홍수 피해 지역 내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6분의 1 가량이 여전히 복구가 안됐다며 “재해 대책이 후진국 수준으로 드러났는데도 정부는 기후 변화만 탓하고 있다”고 했다. 앞서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수해 현장을 방문해 “이번 대홍수는 기후 변화 때문”이라며 “기후 변화에 맞서 싸워야한다” “기후 변화를 막는 데 투자해야 한다” “탄소배출 제로 목표를 조기달성해야 한다”는 발언을 반복한 것을 직격한 것이다.
또 “기상학자들이 선제적으로 날씨에 따른 위험을 예보하면 정부는 재해 대책에 따라 위험지역 주민에게 적절한 때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는 게 당연하다”며 “방글라데시나 모잠비크 등 개발도상국도 수십년 새 극단적 기후의 희생자를 대폭 줄인 반면 독일은 자연재해로부터 자국민을 보호하는 데 실패했다”고도 했다.
야권도 정부의 대응 실패를 일제히 비판했다. 안나레나 배어복 녹색당 총리 후보는 ARD방송에서 “한 지역을 넘어서는 재해가 발생하면 연방정부 차원의 대응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면서 “정부가 유럽 다른 국가에서 구조인력과 물자를 빠르게 조달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미하엘 토이러 FDP(자유민주당) 원내부대표도 “시스템 차원에서 총체적 대응 실패”라며 “정부가 시민들에게 위험을 충분히 알리지 않았다”고 했다.
한편 메르켈 총리는 지난 18일 라인란트팔츠주를 방문해 대홍수 피해 현장을 둘러본 데 이어 20일에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피해 현장을 방문할 계획이다. 이어 오는 22일 연방정부·주총리 회의를 열고 4억 유로(약 5400억원) 규모의 피해복구자금을 즉시 지원하는 방안을 확정키로 했다고 dpa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