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마지막 남은 비트코인 채굴업장인 쓰촨성까지 전면 폐쇄 조치에 돌입하면서 사실상 중국에서 합법적으로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 채굴을 하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21일 경제 매체 차이신(財新)에 따르면 최근 중국 인터넷에서는 쓰촨성 정부가 하달한 가상화폐 채굴장 단속 계획 문건 사진이 급속히 퍼졌다. 해당 문건에는 관내 가상화폐 채굴장 26개를 모두 폐쇄하고 25일까지 그 결과를 보고하라는 내용이 담겼다.

중국 충칭의 비트코인 채굴 업체 ‘랜드마이너’에서 비트코인 채굴용 컴퓨터를 수리하고 있다(기사와는 무관). /뉴시스

그간 중국의 가상화폐 업계에서는 사실상 마지막으로 남은 쓰촨성이 가상화폐 채굴장 단속에 나설 것인지에 큰 관심이 쏠렸다. 앞서 네이멍구자치구를 시작으로 칭하이성, 신장위구르자치구, 윈난성 등 여러 성(省)급 행정구역이 가상화폐 채굴장 폐쇄에 나섰다.

쓰촨성은 신장자치구에 이어 중국에서 두 번째로 비트코인 채굴이 많이 이뤄지는 곳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대안금융센터(CCAF)에 따르면 세계 비트코인 채굴의 36%가 신장자치구에서, 10%가 쓰촨성에 이뤄졌다.

채굴업자들이 쓰촨성의 비트코인 채굴에 희망을 품었던 이유는 쓰촨성의 수력 발전에 비율이 특히 높기 때문이었다.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 저감을 가상화폐 채굴의 주된 이유로 제시한 만큼 탄소 배출 책임에서 자유로운 수력 발전으로 만들어진 전기를 활용해 가상화폐를 채굴했기 때문이다.

차이신은 “이미 가상화폐 채굴장 퇴출을 선언한 네이멍구, 신장, 칭하이와 달리 쓰촨성의 채굴은 수력 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를 위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채굴 업자들은 탄소 중립 추진 정책이 쓰촨성의 채굴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고 여겼다”면서 “이제 이런 환상은 깨졌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2017년 9월부터 가상화폐 신규 발행과 거래를 전면 금지했지만, 중국계 자본이 운영하는 비트코인 거래소들은 본사를 싱가포르 등 역외로 이전하는 방식으로 중국인 상대 영업을 계속해왔다. 또 중국 당국은 비트코인 채굴과 관련해서는 중앙정부 차원의 통일된 정책 방향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중국 국무원은 지난달 류허(劉鶴) 부총리 주재로 금융안정발전위원회 회의를 열고 “비트코인 채굴과 거래 행위를 타격하겠다”는 강경 원칙을 밝히면서 가상화폐와의 전쟁을 선언했다.

차이신은 “감독 당국의 태도가 강경하지만 일부 소형 채굴업자들은 상황을 관망하고 있다”며 “일부는 언제든 단속을 피해 빨리 도망갈 수 있도록 트럭 화물칸에 채굴기를 싣고 자체 수력발전 시설을 들고 다니기도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