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마트폰 등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대중(對中) 관세를 일시 유예한 데 이어 자동차 관세에도 유연한 입장을 보이면서 14일(현지 시각) 뉴욕증시가 강세로 마감했다.

연합뉴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12.08포인트(0.78%) 오른 4만524.7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42.61포인트(0.79%) 오른 5405.9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07.03포인트(0.64%) 상승한 1만6831.48에 각각 마감했다.

앞서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11일 밤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통해 스마트폰, 노트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칩 등 주요 전자제품을 관세 제외 대상에 포함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애플 등 빅테크 기업들이 대중 관세를 피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고, 관련 주가가 상승세를 탔다.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은 이날 2.2% 상승 마감했고, 델 테크놀로지는 4%, HP는 2.5% 올랐다. CSI중국인터넷ETF는 4% 넘게 상승하며 4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이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회사를 도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자동차 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하자 제너럴모터스는 3.48%, 포드는 4.07% 상승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를 제외한 전 업종이 상승했다. 부동산 업종은 2% 이상 올랐고, 유틸리티, 소재, 산업, 의료, 금융, 필수소비재 업종도 1%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편, 증시는 상승 마감했지만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S&P500 지수는 장중 한때 100포인트 가까이 급변동하며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을 반영했다.

모건스탠리는 이날 ‘한 번 속으면 네 탓, 두 번 속으면 내 탓(First time, shame on you. Second time, shame on me)’이라는 제목의 고객 노트에서 “투자자들은 앞으로도 여러 차례 시장에 속을 준비를 해야 한다”며 관세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계속 시장 변동성을 유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