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하루 앞두고 뉴욕증시가 극심한 변동성 속에 혼조 마감했다.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는 경제지표들이 투자 심리를 압박했으나 저가 매수세에 힘입은 기술주 약진이 시장을 지탱했다.
1일(미 동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1.80포인트(0.03%) 내린 4만1989.96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1.22포인트(0.38%) 오른 5633.0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50.60포인트(0.87%) 높은 1만7449.89에 마감했다.
이날 ‘매그니피센트7’(M7) 전 종목이 상승 마감했다. 상승폭은 각각 엔비디아 1.63%, 마이크로소프트 1.81%, 애플 0.48%, 알파벳 1.57%, 테슬라 3.59%, 아마존 1%, 메타 1.67%다.
친(親)트럼프 성향의 케이블 뉴스 채널 뉴스맥스는 뉴욕 증시 상장 후 이틀 연속 기록적 상승세를 이어갔다. 뉴스맥스 주가는 전날 735% 폭등한 데 이어 이날 179.01% 급등했다.
헬스케어 제품 제조사 존슨앤드존슨(J&J) 주가는 7.59% 내리며 S&P500 구성 종목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 J&J는 파산보호(챕터11) 신청을 통해 발암 논란을 일으킨 활석 관련 소비자 소송 수천건을 일괄 해결하려던 시도가 좌절돼 주가가 타격을 입었다.
J&J 다음으로 낙폭이 컸던 종목은 5.93% 하락한 사우스웨스트항공이다. 투자은행 제프리스가 사우스웨스트항공에 대한 투자의견을 ‘보류’에서 ‘시장수익률 하회’로 아메리칸항공과 델타항공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보류’로 각각 하향 조정한 여파다.
업종별로 보면 S&P500을 구성하는 11개 업종 가운데 임의소비재(1.14%)·필수소비재(0.28%)·에너지(0.58%)·산업재(0.6%)·소재(0.32%)·부동산(0.09%)·테크놀로지(0.95%)·통신서비스(1.02%)·유틸리티(0.3%) 등 9개 종목이 오르고 금융(0.16%)·헬스케어(1.75%) 등 2개 종목이 하락했다.
이날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정대로 하루 뒤인 2일 오후 4시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효력을 즉시 발효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관세 우려로 인한 시장 변동성과 관련 “트럼프 1기 때와 마찬가지로 월가는 괜찮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0으로 시장 예상치(49.5)와 전월치(50.3)를 모두 밑돌았다. 제조업 업황이 3개월 만에 다시 위축 국면(50 이하)으로 전환되며 경기 회복 기대감이 약화됐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2월 구인 건수는 약 757만건으로 이 역시 시장 예상치(763만건)를 밑돌았다. 전월(776만건) 대비 약 20만건, 전년 동기(845만건) 대비 약 88만건 감소하며 노동 시장이 얼어붙고 있음을 시사했다.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관련 “일부는 물가에 반영될 것이고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가격 인상으로 수요가 줄면 기업 매출이 감소할 것이고, 가격 인상을 하지 않는 기업도 마진이 내려갈 것”이라면서 “관세가 노동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을 기존 20%에서 35%로 상향 조정하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내 금리 인하 횟수를 늘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가 집계하는 변동성지수(VIX)는 전장 대비 0.51포인트(2.29%) 낮은 21.77을 가리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