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오는 4월 2일 전 세계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은 가운데 트럼프의 수석 보좌관들이 세부 방침의 윤곽을 만들기 위해 뛰고 있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8일(현지 시각) “트럼프 행정부가 모든 국가에 관세율을 동일하게 부과하는 대신 무역 상대국을 계층별로 분류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WSJ는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수백 개의 미국 무역 파트너에 대한 새로운 관세율을 고안하는 복잡한 작업을 단순화하기 위해 전 세계 국가를 세 가지 관세 계층으로 분류할지 여부를 검토했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로이터

WSJ는 “낮음, 중간,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간소화된 3단계 관세 제안을 지난 13일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 수지 와일스 비서실장, 하워드 루트닉 상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스티브 밀러 백악관 정책 담당 부비서실장, 피터 나바로 미 무역제조업정책국 국장이 참석한 회의에서 논의됐다”고 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여전히 각 국가에 대한 개별 관세를 부과하는 방법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14일에는 단계적 관세 부과안이 배제되고 개별화된 접근 방식이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고 했다.

상호 관세 관련 논의는 JD 밴스 부통령이 주도 중이다. 최근 몇 주 동안 열린 트럼프의 수석 보좌관 회의는 워싱턴DC에 있는 부통령 거주지인 해군 천문대에서 열렸다. 이들은 트럼프가 제시한 목표를 달성하면서도 유연성을 갖춘 관세 정책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회의 참석자는 “상호 관세는 시행될 것이며, 상호 관세의 목표는 세금을 어떻게 부과할지 법적 도전에 견뎌낼 수 있을지 알아내는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상호 관세에 대해 “그들이 우리에게 부과하는 것을 우리가 그들에게 부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재차 주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선 미국이 수백 개의 국가별로 관세율을 맞춤으로 제시해야 한다. 베센트 재무부 장관은 18일 폭스 비즈니스에 출연해 국가 간 상호 관세에 대해 개별화된 접근 방식을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4월 2일에 각 국가는 관세를 나타내는 숫자를 받게 될 것”이라며 “어떤 국가는 꽤 낮을 것이고 어떤 국가는 꽤 높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