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의 설탕 수출국 중 하나인 인도가 자국 시장 보호를 위해 설탕 수출을 제한하기로 했다. 팬데믹 여파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식량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인도의 이같은 보호무역주의가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24일(현지 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올해 수출량을 1000만t으로 제한하고 6~10월 설탕을 해외로 반출할 경우 전량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했다고 25일 밝혔다.
인도의 이번 조치는 설탕의 수출 증가에 따라 국내 가격이 오르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앞서 올해 3월 로이터 통신은 인도가 국내에서 설탕의 안정적 공급과 가격 억제를 위해 설탕 수출을 억제할 수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글로벌 무역회사 소속으로 뭄바이에서 일하는 한 딜러는 “정부가 식량 인플레이션을 걱정하고 있다”며 “매년 4분기 시작되는 축제 시즌에 충분한 설탕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려는 조치”라고 말했다.
최근 세계 설탕 가격은 브라질의 생산량 감소와 석유 가격 인상 등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브라질에서는 바이오에탄올 연료를 많이 사용하는데 최근 석유 가격이 오르자 에탄올 제조용 사탕수수 수요가 급증한 것이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식량위기가 닥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부쩍 늘어났다.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공급 속도 둔화, 주요 곡창지대의 흉작, 농업대국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등으로 식량 공급이 급감해 물가가 치솟고 저개발국이 굶주림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