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계획한 가운데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배제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블룸버그TV에 출연 “우리는 75bp(0.75%포인트, 1bp=0.01%포인트)를 영원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그는 오는 6월과 7월 금리를 0.5%포인트씩 금리를 올릴 필요가 있다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견해에 동의하면서 “하반기에도 물가 상승률이 내려가지 않으면 우리는 속도를 더 올려야 할지 모른다”라고 했다.
메스터 총재는 앞서 진행된 야후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는 “앞으로 두 차례 회의에서 0.5%포인트씩 인상이 완벽하게 타당할 것이다”라며 “실업률이 약간 올라가고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이는 당연히 일어나야 하는 일이다”라고 했다.
연준의 다른 인사들도 물가 안정을 위한 고강도 금리 인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동시에 통화 긴축이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시장의 전망을 부인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미네소타 경제클럽 연설에서 “지금이 금리를 올려야 할 때다”라며 “선제적으로 시작해서 완료하고 그 후 경제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판단한 뒤 금리 인상을 더 할 필요가 있다면 더 해야 한다”라고 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도 이날 독일 중앙은행 주최로 열린 콘퍼런스에서 “우리는 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을 동시 진행을 통해 상당히 빠르게 통화완화적 정책을 제거하고 있다”라고 했다. 이어 “이런 조치는 우리에게 향후 두어 번의 회의에서 0.5%포인트의 금리 인상과 같은 일을 할 수 있는 여력을 준다”라며 “실업률이 다소 올라가겠지만 아주 크게 올라가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