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의 바이오제약 계열사인 삼성 바이오로직스가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인 대유행) 이후 글로벌 공급망을 재조정하면서 미국과 유럽에 첫 공장 건설을 추진하는 등 몸집을 키우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1일 보도했다.
FT는 이와 함께 삼성 바이오로직스가 몸집을 불리기 위해 인수합병전에도 돌입했다고 덧붙였다. 삼성 바이오로직스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관련 업계 특수로 지난해 매출이 35% 급증하면서 투자 여력을 확보했다.
존 림 삼성 바이오로직스 최고경영자(CEO)는 FT 인터뷰에서 “주요 고객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미국과 유럽에 공장을 건설하려 한다”며 “팬데믹으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단기간에 다양화하면서 스위스의 라이벌인 론자 그룹, 독일의 베링거인겔하임 등과 경쟁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바이오시밀러(특허가 만료된 의약품 복제약)는 브랜드 제품보다 가격이 저렴해 미국보다 유럽에 더 빠르게 침투하고 있다”며 “미국의 경우 특허와 가격 문제가 복잡하지만 전 세계의 모든 의료 시스템이 비용을 줄이고 환자가 더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에 미국도 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