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10년 만에 최악의 전력난에 시달리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소프트(SCMP)가 7일 보도했다. 코로나19 기원 논란에서 시작된 호주와의 무역 갈등으로 중국 정부가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한 이후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발전용 석탄 공급 부족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한 중국이 남아공과 콜롬비아, 인도네시아 등으로 수입원을 확대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석탄 선적 항구 도시인 친황다오의 발전용 석탄 가격은 올해 7월 말 톤당 1009위안(약 18만원)으로 치솟았다. 2011년 이래 최고가이자 지난해 같은 시기의 두 배 이상 뛴 가격이다. 지난달에도 발전용 석탄 가격은 계속해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이 다소 안정되고 경기가 회복하면서 산업용 전력 수요가 늘어난 결과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7월까지 중국의 총 전력 소비는 지난해 동기 대비 15.6% 증가했다. 경기 회복으로 산업활동과 가계 수요가 활발해졌기 때문이다. 문제는 중국 발전소들이 늘어난 전력 수요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지난해 10월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 조치를 내렸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중국 발생설과 책임론 등을 들고 나온 호주에 보복을 하겠다는 의도였다. 호주는 중국이 사용하는 발전용 석탄의 50% 이상을 들여오는 최대 수입국이다. 중국이 지난해 호주에서 들여온 석탄만 4250만톤이 넘는다. 중국의 전체 발전량 중 화력발전의 차지하는 비중은 57%에 달한다.

정치적 이유로 호주산 석탄 수입을 막은 것이 ‘부메랑’이 돼 돌아온 셈이다. 중국 정부는 올해 2억5000만톤 규모의 신규 석탄 생산 계획을 발표하는 등 자체 생산으로 공급난을 해결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당장의 전력난과 석탄 공급난을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하는 데만 최소 3년이 걸린다는 것이다.

한편 호주는 아시아 국가들로 수출망을 다변화하며 중국에 맞서고 있다. 또 2030년 이후에도 석탄 생산을 늘리겠다고 공언했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주요국가들에서 향후 10년 간은 석탄 수요가 증가할 거란 판단에서다. 조시 프라이덴버그 호주 재무장관은 “지난해 대중국 석탄 수출이 약 3000만톤 줄었지만, 한국과 인도 등으로 수출국을 다변화함으로써 이들 국가에 수출한 석탄이 2800만톤 이상 증가했다”고 말했다.

키스 피트 호주 자원부 장관도 이날 성명에서 “호주는 전 세계 석탄 수요를 맞추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역할을 멈출 수 없다”며 “국제에너지기구(IEA)도 중국, 인도, 한국 등의 에너지 수요를 맞추려면 앞으로 10년간은 아시아의 석탄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