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 전반이 미국 관세 리스크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2일 교역 상대국의 관세·비관세 무역 장벽에 맞춰 관세를 올리는 상호관세 발표를 예고했다. 모든 수입차에 25% 관세를 매긴다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한 상태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전국 제조기업 2107개사를 대상으로 미국 관세 영향을 조사한 결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영향권이라고 답한 기업은 전체 60.3%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46.3%, ‘직접 영향권에 있다’고 답한 기업은 14.0%였다.

미국 관세 영향권 기업 비중과 유형별 구성.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관세 영향권에 속한 기업들은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 및 원자재를 납품하는 기업’(24.3%)과 ‘미국에 완제품 수출하는 기업’(21.7%)의 비중이 높았다.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 및 내수 기업’(17.9%), ‘미국에 부품 및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4.2%), ‘중국에 부품 및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3.8%) 등이 뒤를 이었다.

업종으로 보면 배터리(84.6%),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가장 많았다. 미국에 진출한 국내 대기업에 부품, 소재 등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가 다수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69.6%), 의료정밀(69.2%), 전기장비(67.2%), 기계장비(66.3%), 전자·통신(65.4%)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미국 관세 여파로 ‘납품 물량 감소(47.2%)’를 가장 많이 우려하고 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지 않더라도 간접 영향권에 속한 기업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 ‘미국 시장 내 가격 경쟁력 하락’(11.4%),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0.1%), ‘납품단가 하락’(6.2%) 등이 꼽혔다.

지난달 31일 오후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전용부두에 수출용 차량들이 세워져 있다. /뉴스1

관세 부과를 앞두고 기업들의 대응은 제한적이다. 대응 수준에 대한 질문에 ‘동향 모니터링 중(45.5%)’이거나 ‘생산비용 절감 등 자체 대응책 모색 중(29.0%)’이라고 답한 기업이 절반을 넘는 74.5%에 달했다. ‘현지생산이나 시장 다각화 등을 모색 중’인 기업은 3.9%에 그쳤고, ‘대응 계획이 없다’고 답한 기업도 20.8% 수준이었다.

특히 소재·부품·장비 협력사와 같은 중소기업들의 대응 계획이 부족한 상황이다. 영향권에 들어가는 중소기업 4곳 중 1곳(24.2%)이 ‘대응 계획 없다’고 답했다. ‘생산비용 절감’이나 ‘관세 회피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는 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미국 관세가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제조기업들은 대미 수출뿐만 아니라 중국 저가 공세 등의 간접 영향까지 더해져 경영상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민간 네트워크와 외교 채널을 통해 관세 영향 최소화에 힘쓰고 피해 업종에 대한 지원책을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