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000670)과 MBK파트너스는 고려아연(010130)이 지난해 4분기 창사 이래 첫 분기 순손실을 낸 것은 최윤범 회장이 개인 경영권 방어에 회사 재산을 쓴 여파라고 주장했다.

경북 울산의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고려아연 제공

25일 영풍·MBK는 고려아연이 지난해 4분기 245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해 1974년 설립 이래 처음으로 분기 단위 순손실을 냈다고 밝혔다. 고려아연의 2024년 당기순이익(1951억원)은 연매출(12조529억원)의 1.6%에 불과하다고도 했다.

영풍·MBK는 “원화 대비 달러 가치 상승에 따른 환차손의 영향도 있었지만 대규모 자사주 공개매수를 위해 무리하게 일으킨 고금리 단기 차입금의 이자비용과 원아시아펀드 등 각종 투자 실패로 인한 기타금융비용이 증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고 했다. 고려아연의 이자비용은 지난해 3분기 190억원에서 지난해 4분기 741억원으로 늘었다.

고려아연이 원아시아 사모펀드에 출자한 5000억원은 손상차손액이 2023년 615억원에서 2024년 1575억원으로 증가했다. 영풍·MBK는 “자기주식 공개매수 때문에 조달한 2조원이 넘는 금융차입금 때문에 매분기 동일한 규모의 이자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등 손실요인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는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