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이어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두 나라 모두 병력 부족 문제에 시달리면서 워리어 플랫폼(Warrior Platform)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워리어 플랫폼은 병사의 생존 확률을 높이고 전투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만든 개인장비를 말한다. 병력 규모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군의 전투력 향상을 위해 기술개발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은 2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인공지능(AI·Artificial Intelligence) 강군과 워리어 플랫폼 혁신 세미나에서 “AI와 연계된 워리어 플랫폼은 전투 효율성을 높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미래 전장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핵심 요소”라며 “우리 군도 AI 기술을 도입하고, 워리어 플랫폼을 지속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도 “워리어 플랫폼은 병력의 생존성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했다.
육군의 워리어 플랫폼 획득 계획은 3단계로 이뤄져 있다. 1단계는 피아식별 장치나 방탄복 등을 도입하는 것이고, 2단계는 일체형 개인전투체계로 전술 네트워크와 연동해 감시·정찰·타격 능력을 강화하는 게 골자다. 3단계는 장병이 직접 착용해 신체와 기술을 연동하는 ‘착용형’이 목표다. 현재 1단계 사업 이후 각 부대에 순차적으로 보급 중이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육군은 워리어 플랫폼의 국산화를 강조했다. 손대권 육군 군수사령관은 “워리어 플랫폼 사업은 2단계 국면에 접어들었는데, 핵심 기술이 K-2 소총 등처럼 반드시 국산화가 돼야 한다”며 “외국 기술에 종속된 장비를 도입하면 능력발휘가 어렵다. 국내 기술을 통해 점진적으로 성능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제조업체의 연구개발 비중을 높이고, 정부 부처도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국방기술진흥연구소는 전력지원체계(장비·부품·소프트웨어) 획득 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상배 전력체계연구센터장은 “우수제품 구매 중심인 현 제도로는 중·장기 획득 계획과 연계하기 어렵고 무기체계 간 연계가 미흡하다”며 “워리어 플랫폼 등 전투원의 전투력 발휘를 지원하기 위한 전력지원 체계의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무기체계 융합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형 워리어 플랫폼에 대한 제언도 나왔다. 워리어 플랫폼을 장착한 병력이 드론이나 로봇, 무인차량을 다루는 유·무인 복합체계로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준성 국방과학연구소 부장은 “타 무기체계와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기획단계부터 무기체계와 전력지원체계의 통합 연구개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회의원회관 로비에서는 총 18개 업체가 참여한 개인 전투체계 전시회도 열렸다. 이날 LIG넥스원(079550)은 일체형 개인전투체계 핵심 기술을 공개했다. 방탄 헬멧에 있는 카메라와 안테나가 정보를 인식한 뒤 통합처리모듈을 통해 병사에 전달하는 식이다. LIG넥스원 수석연구원은 “일체형 개인전투체계는 2029~2030년 전력화를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