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는 10일 홍콩 국적항공사인 캐세이퍼시픽항공과 오는 2027년까지 2만톤(t) 이상의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전했다.
SK에너지는 지난 1월 유럽에 SAF를 수출한 지 2개월 만에 홍콩 최대 민항사와도 SAF 공급 계약을 추가 체결하는 성과를 올렸다고 설명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국내 정유사 수출 물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거점 시장이다.
홍콩 첵랍콕국제공항은 지난해 여행객수에서 전세계 5위를 기록하는 등 아태 지역의 주요 환승 허브로 꼽힌다. 이에 따라 SK에너지는 이번 공급 계약을 계기로 아태 지역 SAF 시장 공략에 한층 속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SK에너지는 지난해 9월 연간 생산량 10만톤 수준의 저탄소 제품 대량 생산체계를 갖추고 코프로세싱(Co-Processing·일괄 생산) 방식으로 SAF 상업생산에 착수했다. 코프로세싱은 기존 석유제품 생산 공정 라인에 별도의 바이오 원료 공급 배관을 연결해 SAF와 바이오납사 등 저탄소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글로벌 SAF 수요는 지난 2021년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오는 2050년까지 항공 업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50%까지 감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킨 이후 증가해 왔다.
유럽연합(EU)은 올해부터 2%의 SAF 혼합 사용을 의무화했고, 2030년에는 6%, 2050년에는 70%까지 의무화 비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은 2050년까지 항공유 사용 전량을 SAF로 대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8월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2027년부터 국내에서 출발하는 모든 국제선 항공편에 SAF 혼합을 의무화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시장조사업체인 글로벌 마켓 인사이트에 따르면 전세계 SAF 시장은 지난해 17억달러(약 2조5000억원)에서 2034년에는 746억달러(약 108조9600억원)로 연평균 46.2% 수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영철 SK에너지 마케팅본부장은 “국내외 SAF 정책 변화와 수요 변동 등 시장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캐세이퍼시픽항공을 비롯한 다양한 전략적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안정적인 글로벌 SAF 공급망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