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005380)그룹이 28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발자 컨퍼런스 ‘플레오스 25′를 열고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브랜드이자 기술 플랫폼인 ‘Pleos’(플레오스)를 공개했다.
플레오스는 고성능 칩과 제어기부터 차량 운영 시스템,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클라우드 인프라, 차량 관제 및 운영 설루션, 모빌리티 및 물류 최적화 시스템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하나의 플랫폼이라고 볼 수 있다.
플레오스는 더 많다는 뜻의 라틴어 ‘Pleo’와 운영체제 약자인 ‘OS’의 합성어로, 소프트웨어 중심 모빌리티 테크 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비전을 담고 있다는 게 현대차그룹의 설명이다.
플레오스는 SDV(Software-defined Vehicle, 소프트웨어중심차량)를 구성하는 차량 제어 운영체제 ‘Pleos Vehicle OS’(플레오스 비히클 OS)와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Pleos Connect’(플레오스 커넥트)를 큰 축으로 한다.
현대차그룹은 내년 2분기 출시되는 신차부터 순차적으로 플레오스를 적용할 예정이다. 오는 2030년까지는 약 2000만대 이상의 차량에 탑재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현대차그룹은 2027년 말까지 레벨2+(플러스) 자율주행을 적용하겠다는 로드맵도 함께 발표했다. 카메라, 레이더 기반 인식, 인공지능(AI) 딥러닝 판단 구조 등의 효율과 성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또한 누구나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앱)을 자유롭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오픈 생태계 플랫폼 ‘Pleos Playground’(플레오스 플레이그라운드)도 공개했다.
플레오스 플레이그라운드를 통해 현대차그룹은 소프트웨어 개발도구(SDK) 문서, 샘플 코드, 개발 지원 도구는 물론 실제 차량 없이 앱을 개발 및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 등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