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쾌지수·기온 올라가면 교통사고도 증가

54일이나 지속된 기록적인 장마가 지나가자마자 폭염이 한반도를 괴롭히면서 보험사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열사병 등 온열질환 환자가 늘어나면 실손보험 손실이 늘어나고, 축산농가에 가축 폐사 등 피해가 늘면 관련 보험 손해율(납입 보험료 대비 지급 보험금 비율)도 오르게 된다. 폭염엔 교통사고도 늘어나 자동차 보험금 지급도 늘어날 수 있다.

19일 오전 광주 북구 드론공원에서 북구청 직원들과 육군 31사단 장병들이 수해복구 작업을 하고 있는 가운데 구청 직원이 더위를 식히기 위해 물을 챙기고 있다.

20일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내려진 상태다. 19일 오후 4시 기준 서울과 경기, 인천, 강원, 충청, 전라, 경상, 부산, 세종, 울산, 대구 등 폭염경보가 발효돼 있다. 강원도 태백과 제주도 일부, 인천 옹진군 등 일부 지역엔 폭염주의보가 발령된 상태다. 폭염경보는 일 최고 체감온도가 35℃ 이상일 때, 폭염주의보는 33℃인 상태가 이틀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된다. 남부지방 등에선 최고 35℃가 넘는 무더위가 계속되고 있다.

여름철 손해보험사의 손해율은 주로 장마나 태풍으로 크게 오른다. 올해도 역시 장마철을 지나면서 삼성화재(000810), 현대해상(001450), DB손해보험(005830), KB손해보험 등 대형 손보사 4개사의 지난달 손해율은 전월 대비 약 1%P(포인트)가량 오른 84.8~86.5%로 잠정 집계됐다.

올해는 긴 장마 뒤에 폭염이 찾아오면서 이에 대한 피해도 우려된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에 따르면 덥고 습한 날씨로 불쾌지수가 증가할 때 교통사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발생한 교통사고 69만건을 분석한 결과, 불쾌지수가 80 이하인 날보다 80을 넘는 날 교통사고가 28%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역시 국내에서 기온이 1도 오를 때마다 교통사고 접수가 평균 1.2% 증가한다고 발표했다.

더위로 온열환자가 늘면 실손보험 손해율이 오를 가능성도 있다. 지난 16일 새벽에 올해 처음으로 제주에서 온열질환으로 사망자가 발생했다. 사망자는 80대 남성으로 집에서 머물던 중 고열과 기력 및 의식저하 등으로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됐지만 증세가 악화돼 끝내 숨졌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 온열질환자는 지난 17일 기준 총 693명(사망자 2명)이다.

더위에 취약한 축산농가 피해로 농작물 재해보험이나 가축 재해보험 등 자연재해보험의 손해율이 높아질 가능성도 크다. 지난 17일까지 농림축산식품부에 접수된 폭염 관련 가축피해 건수는 0이지만, 앞으로 무더위가 본격화하면서 그 피해가 더 커질 가능성이 크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2016~2018년 가축재해보험 손해액은 각각 1260억원, 1270억원, 2440억원으로 매년 1000억원을 넘겼다.

한 대형보험사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예년 대비 폭염 피해가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일기예보 상 앞으로 더위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 관련 보험 손해율이 커질 수 밖에 없다"고 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19일 최고 기온은 32~38℃였다. 20일과 21일은 기온이 조금 내려가겠지만 역시 최고기온은 26~38℃로 35℃를 넘는 더위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이달 말까지 전국적으로 낮 최고기온이 30℃를 웃돌 것으로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