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극은 전쟁 중' 인터랙티브 기사 보러 가기
https://biz.chosun.com/interactive/antarctica/index.html

"3월 중순임에도 두께 1척 남짓한 얼음으로 뒤덮여 배는 전혀 나아갈 수 없다" 1911년 아문센과 같은 시기 아시아인 최초로 남극대륙을 탐험한 일본인 시라세 노부가 당시에 남긴 일기의 한 문장이다. 그러나 100년이 지난 지금 남극의 바다얼음은 무섭게 녹고 있다.

12월 중순 하늘 위에서 바라본 남극의 바다는 새파란 빛을 내비쳤다.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해도 하얀 바다얼음으로 뒤덮여 있어 바다라고는 상상할 수 없었던 곳이다. 아직 바다얼음이 남아있는 지역은 균열이 생겨 금방이라도 깨져버릴 것만 같다.

2년 연속 남극을 찾은 김정훈 극지연구소 MPA(Marine Protected Area) 조사팀 박사는 "하계기간에 남극의 바다얼음이 빠르게 녹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전년과 달리 해빙 두께가 얇고 면적이 줄면서 헬리콥터를 이용한 조사지 방문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바다얼음 위의 황제펭귄들.

일반적으로 남극의 바다얼음은 겨울과 여름 계절에 따라 얼었다 녹기를 반복한다. 11월부터 시작되는 하계기간에 바다얼음이 녹는 일은 지극히 정상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매년 바다얼음이 녹는 속도가 빨라진다고 경고한다.

실제 미국 위스콘신대학 AWS(자동기상관측시스템)와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등에 따르면 남극 지역의 기온 변화 정도가 심해지고 있다. 지난 2014년 11월 남극 장보고과학기지가 위치한 테라노바 지역의 평균 온도는 영하 8.3도 였지만, 2016년 영하 5.6도로 상승했다가 2017년 다시 영하 9.5도 떨어지고, 2018년 영하 7.1도로 올랐다. 들쑥날쑥하다.

7차 남극 월동대장이자 대기과학을 연구하는 최태진 박사 역시 변화가 심상찮다고 말한다. 최 박사는 "남극 대륙을 양분해서 보면 한 쪽은 녹고, 한 쪽은 오히려 얼어붙는 기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며 "태평양 바다의 수위가 높아져 섬들이 잠길 것이라는 경고는 여전히 지속 중"이라고 했다.

남극 데이비스 연간 평균 최고 기온

전문가들이 남극 바다얼음의 해빙 시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따로 있다. 바다얼음이 남극 생태계 순환의 중심이기 때문이다. 바다얼음 밑에는 크릴, 규조류 등이 사는데 남극은암치가 얼음 밑 생물들을 먹는다. 남극 상위 포식자 중 하나인 펭귄의 주먹이도 크릴이다.

결국 남극 해양생물들에게 바다얼음은 삶의 터전이나 다름없다. 특히 여름은 남극 바다생물들의 번식기인 만큼 바다얼음의 유무에 따라 새끼들의 생사가 엇갈린다. 갓 태어난 새끼 물범의 경우 일정기간 얼음 위에서 생활하는 데 얼음이 없으면 성장할 수 없다.

남극 멋쟁이로 통하는 황제펭귄도 물범과 다를 바 없다. 황제펭귄은 다른 펭귄과 달리 별도의 둥지를 짓지 않고 얼음 위에서 알을 낳고 기르는 종이다. 이상 기온 탓에 바다얼음이 빠르게 녹으면 황제펭귄 새끼 역시 제대로 자라지 못한다.

생육기간이 감소한 새끼 황제펭귄은 영양 섭취와 발육면에서 뒤쳐진다. 혹독한 남극의 자연에서 생존할 수 있는 확률이 감소하는 셈이다. 아직까지 펭귄은 멸종위기에 놓인 처지는 아니다. 그러나 머지않아 사진으로만 볼 수 있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구 온도 상승에 따른 황제펭귄의 개체수 급감 예측 그래프.

바닷새 생태학자인 스테파니 제누비에 우즈홀해양연구소(WHOI) 박사 연구팀은 지난해 기후변화와 펭귄 관련 논문을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결과는황제펭귄의 멸종이다. 지구 온도가 2도 상승하면 바다얼음이 3배 감소하게 되고 황제펭귄 집단의 3분의 1이 사라질 수 있다.

연구팀은 미국국립기상연구소(NCAR)가 개발한 기후변화 모델을 이용해 해빙의 변화를 컴퓨터 시나리오로 예측했으며 해빙 서식지 변화에 따라 펭귄의 생식 능력과 사망률을 계산, 펭귄 개체수를 산정했다.

세계 각 국가가 화석 연료 사용 제한 등 저감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지구 기온은 5~6도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 때 황제펭귄의 86%가 사라질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타났다.

김정훈 박사는 "지구 온난화 등과 같은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장기적인 조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남극의 자연 환경과 생태계의 변화에 대해 면밀히 관찰해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게 최우선"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