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에서 카메라나 RFID 등 전자태그 없이 접촉만으로 사물을 인식하는 ‘노커(Knocker)’ 기술이 나왔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취침 전 단순히 침대를 두드려 조명을 끄는 등 새로운 일상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노커 기술은 물병에서 생성된 고유 반응을 스마트폰을 통해 분석하여 물병임을 알아내고, 그에 맞는 서비스를 실행 시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성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과 교수 연구팀이 스마트폰으로 두드리기만 하면 사물을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기존 사물 인식 기술은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과 RFID 등 전자 태그를 부착해 전자신호로 구분하는 방법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어두운 환경에서는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 모든 사물에 태그를 부착해야만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새로 개발된 노커 기술은 물체를 두드려서 생긴 반응을 스마트폰의 마이크,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로 감지하고, 이 데이터를 기계 학습 기술을 이용, 분석해 사물을 인식한다. 기존 기술에 비해 사용 환경이나 조건 제약이 적은 것이 장점이다.

연구팀이 책, 노트북, 물병, 자전거 등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23종의 사물로 실험한 결과 혼잡한 도로, 식당 등 잡음이 많은 공간에서 83%의 사물 인식 정확도를 보였다. 가정 등 실내 공간에서의 사물 인식 정확도는 98%에 달했다.

이성주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특별한 센서나 하드웨어 개발 없이 기존 스마트폰의 센서 조합과 기계학습을 활용함으로써,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 차세대 정보컴퓨팅 기술개발사업 및 정보통신‧방송 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결과는 지난달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 저명 학회인 ‘ACM UbiComp’에서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