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일본 전문가들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가 장기화하면 한국 기업들의 피해가 더 크다고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일본 정부가 지난 4일부터 한국에 대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핵심소재 3종에 대한 수출 제재 시행에 대한 영향을 긴급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14일 밝혔다. 설문 응답자는 일본과 거래하거나 투자를 진행한 기업인과 증권사 애널리스트, 학계 통상전문가 등 50명이다.
설문에서 일본의 수출통제로 인한 한국 기업의 피해 정도가 '매우 높다'(54%)와 '약간 높다'(40%)는 답변이 90%가 넘었다. 응답자의 70%는 이번 수출통제 조치 원인으로 지목되는 일본의 참의원 선거(7월 21일) 이후에도 조치가 지속할 것으로 봤다. 일본의 조치가 장기화하면 한국이 더 큰 피해를 본다는 답변은 62%로, 반대로 일본 피해가 더 크다는 답변(12%)보다 높았다.
수출제재 조치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바람직한 대응책으로는 '외교적 대화(48%)'가 꼽혔다. 이어서 부품·소재 국산화(30%), WTO 제소(10%), 2차 보복 대비(6%) 등 순이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일본의 대한국 수출제재가 장기화될 경우 포토레지스트, 에칭가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3종 외에 다른 소재에서도 추가 제재가 예상된다"면서 "장기화를 대비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엄치성 실장은 "전경련은 일본경제계와 오랫동안 쌓아온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대화로서 해결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것"이라며 "일본 경단련과의 경제협력채널인 한일재계회의를 통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협력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