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로 연구의 대가 장윤일 박사(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는 25일 "원자력은 한국의 에너지 안보에 앞으로 계속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며 "원자력만이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 발생 없이 원자재나 토지를 가장 적게 사용하는 방식"이라고 주장했다.

장 박사는 1993년 한국에서 유일하게 로렌스 상을 받았다. 로렌스 상은 미국 정부가 1959년 12월에 창설한 상으로 ‘원자력 분야 노벨상’으로 불린다.

장 박사는 이날 대전 유성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개최한 '세계 원자력의 현황과 전망' 특별 강연에서 "2050년쯤에는 지금보다 2.5배 많은 전력이 필요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원자로 연구의 대가 장윤일 박사(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가 25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개최한 '세계 원자력의 현황과 전망' 특별 강연을 진행했다.

장 박사는 강의에서 "우리는 발전 방식을 고르고 선택할 여유가 없을 것"이라며 "인류는 석탄, 천연가스, 석유, 수력, 태양, 풍력, 바이오매스, 원자력 등 모든 에너지원을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그는 이 중 원자력만이 급증하는 전력 소비 수요를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향후 10년간 중국과 다른 19개국은 100기의 원전을 추가로 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원자력 르네상스는 미래 전력 수요 성장을 대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원자력 안전 문제와 관련해서는 일본 후쿠시마 사고를 예로 들며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강조했다. 장 박사는 "일본 후쿠시마 사고의 경우 사상자가 대부분 쓰나미 때문에 발생했고 발전소에선 1명의 희생자도 없었다"며 "지진폭이나 파괴력 측면에서 한국과 일본의 지진은 차이가 크기 때문에 한국에서 지진에 따른 피해는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장 박사는 "원전 수출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다"면서 "장기적으로 볼 때 고속로와 파이로프로세싱(사용후핵연료 처분 방법) 기술을 확보하는 국가가 원전 기술 선도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단될 위기에 놓인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제4세대 원전 고속로 프로젝트를 재가동해 미래 세대를 위한 성공 사례로 남길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