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소비 11년來 최대 증가…"1인당 GNI 3만1000달러"
건설·설비투자 조정기…4분기엔 기저효과로 플러스 전환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7%로 집계됐다.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은 1.0%로 시장예상치를 상회했다.

한국은행은 22일 발표한 '2018년 4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7%로 집계됐다. 2012년(2.3%)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7년에 3.1%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3.3%) 이후 3년 만에 3%대 성장률을 회복했지만 1년 만에 다시 2%대로 내려왔다. 한은은 실질 경제성장률과 환율을 감안했을 때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1000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성장세는 정부소비가 이끌었다. 정부소비는 5.6%(전년대비) 증가하면서 2007년(6.1%)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문재인 케어’ 등 정부의 의료 보장성 강화 정책에 따라 의료비 지출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 컸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2.8%로 전년(2.6%)대비 회복세를 보이면서 2011년(2.9%)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수출은 4.0% 늘었다. 2013년(4.3%) 이후 5년 만에 최고치다.

서울 강남 지역에 아파트 건설을 위한 많은 타워크레인들이 설치되어 작업을 하고 있다.

건설투자는 4.0% 감소했다. 외환위기를 겪었던 1998년(-13.3%) 이후 최저치다. 설비투자도 1.7% 줄어 2009년(-7.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지난해 건설과 설비투자가 감소로 전환된 반면 민간소비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정부소비, 수출의 증가세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경제활동별로는 서비스업이 2.8% 증가하면서 전년(2.1%)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제조업은 3.6% 늘어 전년(4.4%)대비 증가세가 다소 둔화됐다. 건설업은 4.2% 감소해 2011년(-5.5%) 이후 7년 만에 최저수준을 나타냈다.

지난해 성장률을 분기별로 살펴보면 1분기 1.0%(전기대비)를 기록한 이후 2분기 0.6%, 3분기 0.6%를 나타냈다. 4분기에는 1.0%로 성장률이 회복됐다. 지난해 10월 한은이 내놓은 연간 성장률이 유지된 건 4분기 성장률이 목표치인 0.8%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정부의 물건비(정부 지출품목 중 인건비를 제외한 각종 운영비),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이 늘면서 정부 소비(3.1%)가 2010년 1분기(3.4%) 이후 35분기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영향이 컸다. 정부의 물건비 지출은 전년동기대비 14.8%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성장기여도(계절조정계열)는 1.2%포인트로 전분기(-0.1%포인트)대비 대폭 늘었다.

박 국장은 "재정의 경기안정화 기능이 작동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경기 위축시기에 일시적으로 메꿔주는 형태라 지속되기는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4분기 민간소비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1.0% 늘었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도 각각 1.2%, 3.8% 늘어 3분기 만에 증가전환됐다. 전분기 6.7%, 4.4% 감소한 데 따른 기저효과다. 수출은 반도체를 포함한 전기 및 전자기기를 중심으로 2.2% 줄어 4분기 만에 감소전환됐다. 지난해 12월 수출(통관 기준)이 1.2%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전기전자기기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기계 및 장비 부문에서 수출 감소세가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수입은 원유, 석탄및석유제품이 늘면서 0.6% 늘었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소득(GDI)는 2008년(-0.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1.1% 증가하는데 그쳤다. 국제유가 상승과 반도체 수출품 가격 하락, 천연가스를 포함한 수입품 가격 상승 등 따라 교역조건이 악화된 영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