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전문점 내 일회용컵 사용 금지 이후에도 매장 내에서 머그컵 등 친환경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가 18%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이 한국부인회총본부와 공동으로 주요 도시 내 커피전문점 75개 매장을 대상으로 일회용품 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매장 내 소비자 1665명 중 1377명(82.7%)이 다회용 컵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음료를 매장 밖으로 들고 나가는 테이크아웃 소비자 750명 중에서는 694명(92.5%)이 일회용컵을 사용했고, 텀블러 사용자는 56명(7.5%)에 불과했다.
최근 일주일 이내 커피전문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일회용품 이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평균 플라스틱 빨대 2.3개, 플라스틱 컵 1.52개를 사용하는 등 친환경 제품보다는 일회용품을 전반적으로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머그컵(0.96개), 텀블러(0.31개), 대안빨대(0.28개)보다 많았다.
규제 대상이 아닌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에 대해서는 ‘습관적으로 사용한다’는 응답이 54.1%였다. ‘대안빨대가 없어서 사용한다’는 답도 51.1%로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중복응답).
텀블러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휴대하기 어렵다’가 76%로 가장 많았다.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53.5%)’, ‘인센티브가 적어서(19.6%)’ 등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 일회용품 사용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76.4%가 ‘일회용품을 많이 사용한다’고 답했다. 87.1%는 ‘일회용품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데 동의했다. 현재 시행 중인 일회용품 사용규제에 대해서는 62.1%가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와 ‘일회용 종이컵’에 대해서도 각각 응답자의 84.1%, 78.4%가 사용 규제 필요성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플라스틱 빨대의 대체제로 주목을 받는 종이빨대를 대상으로 안전실태를 조사한 결과, 오픈마켓에서 유통·판매 중인 9개 제품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전 제품에서 납, 비소, 포름알데히드, 형광증백제, 벤조페논 등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했다.
다만 제품 표시와 관련해 종이 빨대 8개 제품은 필수 표시사항 중 업소명 및 소재지나 식품용 단어 또는 식품용 기구 도안을 표시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환경부에 종이 빨대 등 친환경 대체재 사용을 통한 플라스틱 빨대 규제 방안 마련을 요청할 계획이다. 관련 업체에는 다회용품 사용 등 친환경 소비 시 인센티브 제공 확대, 일회용 빨대 제품의 필수 표시사항 준수를 권고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시중 유통·판매 중인 일회용 빨대 제품의 표시관리·감독 강화 등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