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 회계 사건 이후 앞으로 기업이나 회계법인 등이 어떻게 해야 국제회계기준(IFRS)에 어긋나지 않는 것인지 혼란과 불안감이 더 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한국회계학회의 '원칙 중심 회계 기준과 회계' 세미나에서 조성표 한국회계학회장(경북대 교수)은 "2011년 '원칙 중심'이라는 IFRS 도입 이후 국내에서 이 기준이 잘 적용되는 듯하다가 올해 대형 사건(삼성바이오 사건)이 터졌고, 기업과 회계법인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며 "IFRS를 도입해 국가 신인도를 높이기로 했는데 하루아침에 물거품이 될 수 있는 '회계의 위기'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날 주제 발표를 한 이영한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교수도 "향후 금감원 등 금융 당국에 어떻게 회계 처리를 해야 할지 방향을 제시해달라는 수요가 더 많아질 것"이라며 "회계법인 등은 금융 당국이 어디까지 문제를 삼을지 알기 어려우니 기업이 회계 처리를 할 때 가장 보수적인 제안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회계학회장을 지낸 이종천 숭실대 교수는 주제 발표 후 질의응답 때 "삼성바이오 사건에 대한 증선위 판단과 관련해 기업이 복제약을 개발하는 등 기업 가치가 분명히 올라갔고 이런 것이 평가를 통해 회계에 반영되어야 하는데 그렇게 되지 못한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이종천 교수는 "명백히 잘못된 것은 문제가 있지만 견해가 다른 것에 대해 징계하는 것은 상당히 부당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