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가락시영 재건축), 강남구 래미안블레스티지(개포주공2단지 재건축) 등 전국 20개 단지에 '행복주택'이 공급된다. 모집 가구 수는 총 7818가구다.
행복주택은 청년, 신혼부부 등의 주거 안정을 위해 주변 시세의 60~80% 가격에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상대적으로 집값이 높은 서울 지역에서도 저렴한 임대 조건으로 거주가 가능하다.
접수 기간은 서울주택도시공사(서울지역)의 경우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이며, 한국토지주택공사(서울, 양평·가평·파주·성남 외 지역)는 12일부터 18일까지 7일간이다. 경기도시공사(양평·가평·파주·성남)는 지난 5일부터 시작해 14일까지 접수한다.
지난 3월 1만4000가구, 6월 1만 가구의 행복주택을 공급했을 때 평균경쟁률은 각각 3.4대1, 3.7대1이었다. 이번에 공급되는 행복주택에는 송파구 헬리오시티(1401가구), 강남구 래미안블레스티지(112가구) 등 입주 희망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단지가 대거 포함돼 높은 경쟁률이 예상된다.
행복주택은 지난해 11월 발표된 '주거복지 로드맵'에 따라 만 19~39세 청년 혹은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65세 이상 노인 등이 입주 대상이다. 정부는 당초 행복주택 공급지 근처에 생활 근거지(학교, 직장 등)가 있을 때만 행복주택을 청약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가, 지난 3월부터 순위제를 신설해 청약 가능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했다. 행복주택 입주자로 선정되면 대학생·청년 등은 6년, 신혼부부는 6~10년, 노인 등은 20년간 거주할 수 있다.
행복주택은 온라인(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경기도시공사 홈페이지)과 모바일 앱(한국토지주택공사 청약센터)으로 접수가 가능하며, 입주는 내년 1월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된다.
행복주택의 지구별 모집 호수, 임대료, 입주 자격 등 자세한 정보는 한국토지주택공사 청약센터 또는 마이홈포털을 참조하면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모집에 이어 오는 12월에도 3000여 가구의 행복주택을 추가로 모집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일자리 연계형 주택(창업지원, 산업단지형 등), 노후공공청사, 복합개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청년·신혼부부 대상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