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선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친노동정책이 속속 도입되면서 제조업의 경쟁력 저하가 가속화되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 법인세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기업 부담을 늘리는 정책이 잇따라 시행되면서 많은 기업이 공장 해외 이전을 고민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의 제조업이 뒷걸음질치고 있는 동안 독일·중국·미국·일본 등 경쟁국들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차세대 제조업 육성 전략을 앞다퉈 추진하고 있다.
독일은 중국의 제조업 공세가 거세지자 지난 2006년 대응책의 일환으로 '국가 기술 발전 종합 계획 2020'을 마련했다. 재생에너지·신약·전기자동차·나노전자 및 광학 등 신기술 개발에 국가적 역량을 총동원하는 것이다. 또 2014년부터는 스마트폰이 촉발시킨 정보통신기술(ICT)을 제조업과 융합해 스마트 공장을 구축하는 '인터스트리 4.0'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독일 경제에너지부는 '인더스트리 4.0' 정책 추진으로 자국 제조업의 부가가치 창출이 2020년까지 총 1530억유로(약 198조원)에 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은 저임금에 기반한 경쟁력은 수명을 다했다고 보고 제조업의 경쟁력을 질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국가적 전략을 마련했다. 2015년 기존 산업에 인터넷 기술을 융합해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 '중국 제조 2025' 정책을 발표하고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제조업 육성 패러다임을 바꿨다. '중국 제조 2025'는 중국이 적극적으로 육성할 산업으로 차세대 정보 기술(IT) , 디지털 제어 선반과 로봇, 최첨단 선박과 철도 교통, 신에너지 자동차, 바이오 의약과 고성능 의료 기기, 농업 기계 설비 등을 꼽고 있다. 미국은 2011년부터 첨단 제조업 육성, 청정에너지 개발 및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주요 골자로 한 '신(新)미국 혁신 전략'을 추진하는 한편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를 추진하는 '리쇼어링(Re-shoring)' 정책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일본 역시 2013년 '일본 재흥(再興) 전략'을 내놓고 첨단 설비투자 활성화와 과학기술 혁신을 핵심 과제로 제조업 부흥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제조업은 2012년 0.1% 성장에 그쳤으나 2015년 6.7% 성장하며 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제조업 분야 기업들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우리도 국가 차원의 중·장기적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