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노사가 2018년 임금과 단체협약에 대한 교섭(임단협)에 잠정 합의했다. GM 본사가 제시한 데드라인이었던 23일 극적으로 합의에 이르면서 한국GM은 법정관리를 피하게 됐다.
이날 한국GM 노사는 새벽 5시부터 인천 부평 본사에서 14차 임단협 교섭을 개시했다.
노사는 핵심쟁점이었던 군산공장 잔류직원들의 고용 보장에서 큰 틀의 합의를 거친 후 복리후생비 절감 등 세부적인 사안에서 막판 의견을 조율했다.
11시간이 넘는 ‘마라톤 협상’을 벌인 끝에 노사는 오후 4시 15분쯤 교섭을 마무리짓고 잠정 합의에 성공했다고 선언했다. 잠정 합의안은 이번 주 진행될 조합원 투표를 통과할 경우 정식으로 타결된다.
노사는 이날 교섭에서 군산공장의 희망퇴직 미신청 직원 680명의 고용과 관련해 대해 타 공장 전환배치와 추가 희망퇴직을 실시하되 4년간의 무급휴직은 시행하지 않기로 했다. 무급휴직이 사실상 정리해고 조치와 다를게 없다는 노조의 의견을 사측이 받아들인 것이다.
대신 전환배치와 추가 희망퇴직에도 응하지 않는 군산공장 직원들의 고용 문제에 대해서는 희망퇴직이 끝나는 시점에 노사가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노사는 또 부평공장에 내수와 수출시장용 신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배정하고 부평공장의 미래 발전과 고용안정을 위해 교섭 종료 이후 ‘부평2공장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창원공장은 내수와 수출시장용 신차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량(CUV) 배정을 확정하고 일시적 공장운영 계획 변경과 생산성 향상 목표 이행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노사는 이 밖에 상여금 지급 방법, 법정휴가, 임직원 차량할인 등 일부 복리후생비용 항목에 대한 단체협약을 개정하는데도 합의했다.
노사가 경영정상화 방안에 잠정 합의함에 따라 한국GM은 미국 GM 본사와 산업은행으로부터 추가 자금 지원을 받아 본격적인 회생의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은 “이번 합의로 인해 한국GM은 경쟁력있는 제조기업이 될 것으로 탈바꿈할 것”이라며 “노사교섭 타결을 통해 GM과 산업은행 등 주요 주주, 정부로부터 지원을 확보하고 경영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는 “노조가 회사의 정상화 계획에 동참해 노사협상 잠정합의를 이끌어냈다”며 “앞으로 이해관계자 차원의 지원을 얻기 위해 지속적으로 협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