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의 '배당 착오' 사태가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지난 6일 삼성증권의 전산 착오로 배당된 거액의 자사주를 일부 직원이 매도해 회사 주가가 10% 넘게 폭락한 것과 관련,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이 들끓고 있다. "증권사는 마음만 먹으면 주식을 찍어내 팔 수 있느냐"며 "증권사 시스템에 대한 철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는 청원 글에 이틀 새 10만명이 넘게 서명했다. 증권사 직원의 실수로 존재하지도 않는 주식이 28억주(약 100조원어치) 넘게 배당되고, 증시에선 이런 '유령 주식'이 500만주나 거래된 황당한 상황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금융 당국이 증권 거래 시스템 전반을 허술하게 관리한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도 투자자들의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

◇직원 1명이 350억원 넘는 주식 내다 팔아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의문점은 삼성증권의 전산 시스템이 얼마나 허술했으면 전산 착오가 100조원대 배당 사고로 이어졌을까 하는 점이다. 6일 사고 발생 직후 삼성증권은 "직원의 입력 실수로 배당금 대신 주식이 입고됐다"고 했다. 배당금 지급 시스템에서 '원' '주(株)' 등 지급 단위를 선택하게 되어 있는데, 여기서 '원' 대신 '주'를 선택하는 착오였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삼성증권은 이런 실수를 막기 위해 동료 직원이 교차 점검하거나 책임자가 재점검하는 절차를 갖추지 않고 있었다. 실수를 방지할 보완 장치가 없었다는 얘기다.

금융위 “삼성증권 특별 점검” -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삼성증권 배당 사고 관련 회의를 열고, “9일부터 삼성증권에 대해 특별 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고로 잘못 지급된 주식은 28억주가 넘는다. 삼성증권이 정관상 발행할 수 있는 총 주식 수 1억2000만주보다 23배나 많다. 직원이 실수를 했어도 존재하지도 않는 주식이 지급되는 데 아무 제동이 걸리지 않은 건 전산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다.

거액의 주식이 입금되자 이를 시장에 내다 판 일부 직원의 '도덕적 해이'에 대한 질타도 거세다. 주식을 받은 삼성증권 직원 16명이 500만주를 매도했다. 특히 이 중에는 한 사람이 100만주 넘게 매도한 사례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증권 내부에 밝은 금융계 관계자는 "주식을 판 16명 중에 매도 주식 수가 100만주 넘는 사람이 있다"고 했다. 100만주의 가치를 사고가 난 6일 삼성증권 장중 최저가인 3만5150원으로 계산해도 350억원이 넘는 거액이다.

투자자들 사이에선 자기 소유가 아닌 주식에 손을 댄 직원들에게 회사 징계는 물론이고 점유이탈물 횡령죄 등으로 형사책임까지 물어야 한다는 말이 나온다.

◇'유령 주식' 발견 못 한 금융 당국

거래소·예탁결제원 등 증시 거래 인프라를 담당하는 기관들은 존재하지도 않는 삼성증권 주식이 시장에서 대량으로 거래되는데도 걸러내지 못했다. 예탁결제원은 실제 주식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업무를 맡고 있지만 이번에 시스템 문제를 드러냈다. 예탁결제원 관계자는 "각 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합해 전체 주식 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시스템은 없다"며 "주식 수가 잠시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더라도 매매는 이뤄질 수 있다"고 했다. 금감원 관계자도 "당일 장 마감 후 정산을 해서 주식 수 등에 이상이 있는지 잡아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모든 이상 거래를 걸러내진 못한다"고 말했다. 다른 증권사에서 똑같은 사고가 재발할 수 있다는 얘기이다. 반면 은행은 거액의 예금이 갑자기 오가는 의심 거래가 나타나면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 있다.

금융위원회는 이 문제와 관련해 8일 금융감독원, 거래소, 예탁결제원 등 관계 당국 회의를 열고 "9일부터 삼성증권에 대해 특별 점검을 벌여 위법 사항이 확인되면 엄중하게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증권이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어떻게 나눠줄 수 있었는지, 또 일부 물량이 장내에서 매매 체결까지 이뤄질 수 있었는지 등의 과정을 집중 점검한다고 했다. 또 모든 증권사의 계좌 관리 시스템도 점검하기로 했다.

삼성증권은 사고 당일 주식을 팔아 손해를 본 투자자에 대한 보상 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구성훈 삼성증권 사장은 "투자자들의 피해에 대해 최대한의 방법을 찾아 구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