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은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사진 처리 기술 발달로 스마트폰 카메라로도 전문가용 SLR(일안 반사식·Single-Lens Reflex) 카메라에 근접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고 28일 밝혔다.
구글에서 이미지 처리 부문을 이끄는 마크 르보이 디스팅귀시드 엔지니어는 이날 서울 역삼동 구글코리아에서 열린 화상 기자간담회에서 구글의 최신 스마트폰 ‘픽셀(Pixel) 2’에 적용된 기술을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픽셀(Pixel) 2’와 ‘픽셀(Pixel)2 XL’에 탑재된 인물모드 촬영을 소개하면서 이를 통해 SLR카메라에 근접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르보이 엔지니어는 “인물모드로 사진을 찍으면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불필요한 배경을 흐릿하게 된다”면서 “특히 근접 사진촬영에 있어 결과물에 깊이감을 준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인물모드와 비슷한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에 듀얼카메라를 적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애플의 아이폰이나 삼성의 갤럭시도 듀얼카메라를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구글은 하나의 카메라로 스마트폰에서 인물모드 사진을 찍는데 성공했다. AI 기술을 통해서다.
구글은 인물모드를 위해 기계학습(머신러닝)과 듀얼 픽셀 자동 초점(DPAF) 기술을 적용했다. DPAF는 작은 스마트폰 카메라의 렌즈를 반씩 나눠 카메라의 광학 장치가 작동하는 것처럼 만든 기술이다. 르보이 엔지니어는 머신러닝을 통해 사람과 배경을 정확히 구분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100만건의 이미지로 학습을 시켜 어떤 피사체가 사람인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있게됐다”고 말했다.
르보이 엔지니어는 촬영 버튼을 누른 후 실제로 찍히기까지 시간은 150ms(1000분의 1초), 후처리 시간을 포함해도 촬영 후 4초 이내에 결과물을 받아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앞으로 얼굴인식, 자동초점, 자동 화이트밸런스, 자동 노출과 같은 사진 촬영의 필수 요소가 스마트폰에서도 더 정확하게 구현하도록 머신러닝을 활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AI와 머신러닝 기술의 발전에도 스마트폰 카메라가 SLR카메라의 성능을 앞서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르보이 엔지니어는 “스마트폰이 SLR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을 것이다”라며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너무 차이 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