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더리움·리플 등 가상 화폐는 영어로 'cryptocurrency(크립토커런시)'라고 쓰인다. 가상 화폐의 기반이 보안 기술인 블록체인인 점에서 착안해 '암호학(cryptography)'과 '통화(currency)'에서 따와 만든 단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암호 화폐' '가상 화폐' '가상 통화'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린다. 정부·업계 등이 가상 화폐를 보는 관점이 서로 다른 탓이다.

대부분 국내 거래소는 '암호 화폐'라는 표현을 즐겨 쓴다. '크립토커런시'의 직역에 가깝다. 가상 화폐가 단순 투기 대상이 아니라, 블록체인 등 '암호화 기술'이 바탕이 됐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은행 등 정부·공공기관은 '가상 통화'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수년 전까지 영어권에서 사용되어 온 'virtual currency(버추얼 커런시)'를 번역한 것이다. 18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가상 화폐 대책 현안 보고 자리에서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은 "정부로서는 가상 통화가 아직 화폐적 기능을 안 하고 있어 화폐라는 용어는 가급적 안 쓰려 한다"고 밝혔다. 화폐라는 단어를 쓸 경우 일반 국민이 법적으로 가치가 보장된 진짜 '돈'을 떠올릴 수 있기 때문에 거리를 두는 것이다. 법무부는 가상 화폐 거래소 폐지안 등을 밝혔던 지난 11일 "(가상 화폐는) 통화로도 볼 수 없다"며 '가상 증표'라는 새로운 용어를 제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