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M이 애플뮤직에 음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애플뮤직이 국내 주요 음원 유통사와 공급 계약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업계는 CJ E&M과의 음원 공급 계약으로 애플뮤직의 K-POP 콘텐츠 확보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애플뮤직은 그동안 국내 음원 부족으로 ‘반쪽 서비스’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CJ E&M이 운영하는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엠넷닷컴’ 관계자는 22일 “지난 4월 27일부터 애플뮤직에 음원을 공급하고 있다”며 “스트리밍 플랫폼 사업자이자 음원 유통사로서 유통 채널을 확대하는 것이 사업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엠넷닷컴은 멜론·지니·벅스 등 국내 경쟁사들과는 음원을 공유해왔지만 애플뮤직에는 음원을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CJ E&M이 애플뮤직에서 제공하는 음악 큐레이팅 페이지 ‘MOB’. 응답하라1997, 쇼미더머니 등 CJ E&M의 음원들을 플레이리스트 화 해 제공하고 있다.

엠넷닷컴 측은 구체적인 공급 음원 수량과 수수료 배분 비율 등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이 관계자는 “구체적인 계약 사항에 대해 밝힐 순 없지만, 소속가수 뿐 아니라 유통권을 지니고 있는 음원 또한 공급하고 있다”고 했다.

현재 애플뮤직에선 기존에 찾을 수 없던 CJ E&M의 드라마 OST를 비롯해 ‘슈퍼스타K’, ‘쇼미더머니’, ‘프로듀스101’ 등 엠넷(Mnet) 방송 채널을 통해 공개된 곡들과 엠넷 소속 가수의 음원이 제공되고 있다. 엠넷닷컴의 보유 음원 수는 550만곡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tvN 등 CJ E&M의 케이블 채널에서 인기를 끈 드라마 OST는 물론, 엠넷의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공개된 곡들이 음원차트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어 애플뮤직의 국내 시장 안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 3000만곡 이상의 음원 자랑하는 애플뮤직, K-POP 없어 국내 안착에 난항

애플뮤직에서 엠넷의 오디션 프로그램 ‘쇼미더머니’의 곡을 검색한 결과. 이전에는 찾을 수 없던 곡들을 들을 수 있다.

애플뮤직은 2015년 애플이 선보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다. 현재 세계 100여개 이상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200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기존 애플이 운영하던 디지털 다운로드 서비스 ‘아이튠즈 스토어’와는 별개다. 애플뮤직은 총 3000만곡 이상의 음원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국내 최대 음원 서비스 업체 ‘멜론’의 3배가량이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8월 정식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당시 3개월간 무료 서비스를 제공해 주목받았다.

그러나 K-POP 콘텐츠가 부족해 한국에서 성공은 힘들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애플뮤직은 국내 서비스 시작과 함께 SM엔터테인먼트와 YG엔터테인먼트, JYP 등 일부 기획사와 계약을 맺었지만 로엔(멜론), CJ E&M, 지니뮤직(구 KT뮤직) 등 국내 주요 음원 유통사들과는 저작권료 정산 비율에 관한 이견으로 계약을 맺지 않았다. 현재도 로엔은 애플뮤직과 음원 공급 계약을 맺지 않은 상태다. 로엔의 대표 가수 ‘아이유’의 곡을 검색할 시 드라마OST 외에 아이유의 앨범에 실린 곡은 찾을 수 없다.

음악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선 저작권자에게 할인하지 않은 정상가격 기준 60%의 수수료를 제공하지만, 애플뮤직은 ‘글로벌 스탠더드’를 앞세워 할인판매가 기준 70%의 수수료를 제시해 계약이 불발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디지털 음원 스트리밍 업체들은 소비자들에게 장기 계약 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정상가격 1만원인 한달 서비스 비용을 3달 계약 시 6000원으로 할인해주는 식이다. 이 관계자는 “애플뮤직은 K-POP 콘텐츠 부족으로 3개월 무료 프로모션이 끝난 이후 사용자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안다”고 했다. 애플뮤직 측은 이번 음원 공급 계약에 관해 “답변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 ‘멜론 천하’인 국내 디지털 음원 시장...CJ, 애플 손잡고 카카오 견제에 속도 내나

디지털 음원 시장 규모는 스마트폰 보급과 함께 급성장해 지난해 1조원대를 넘어섰다. CJ E&M이 애플뮤직에 음원을 공급하는 것은 ‘멜론천하’인 국내 디지털 음원 시장에 도전장을 낸 것으로 분석된다.

앱 조사 업체인 와이즈앱에 따르면 올해 1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준 멜론의 월 실제 사용자수(MAU)는 약 522만명이다. 그 다음으로 지니뮤직(172만명), 카카오뮤직(166만명), 네이버뮤직(151만명), NHN엔터테인먼트의 벅스(92만명), 엠넷(81만명) 순이었다. 카카오 산하 멜론과 카카오뮤직의 실사용자 수를 합하면 688만명으로, 8개 상위 음원 서비스의 실사용자 수(약 1309만명) 중 52.6%에 달한다.

지난해 기준 국내 주요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현황.

CJ E&M은 지난해 9월 음악사업 부문을 ‘CJ디지털뮤직’으로 분사했다. 당시 CJ E&M은 분사 이유에 관해 “애플 뮤직이 한국에 진출하는 등 음악 시장 상황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조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엠넷은 방송 채널을 갖고 있는 만큼 스트리밍 플랫폼 외에도 방송·음원 간 시너지에서 강점을 보인다”며 “CJ E&M 측이 과점 사업자인 멜론·카카오를 견제하기 위해선 애플뮤직과 경쟁하기 보단 손을 잡아 음원 수익을 챙기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