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옷감처럼 실로 짜는 메모리 기술을 개발했다.
이미정 국민대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진은 알루미늄을 입힌 실과 탄소 섬유를 이용해 전기가 없어도 정보가 사라지지 않는 ‘저항변화메모리’를 직물 형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전기가 공급되지 않아도 옷감처럼 만들어진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 웨어러블 기기 활용이 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저항변화메모리(Resistive switching Random access memory)는 저항변화 특성을 갖는 물질이 절연체 혹은 전도체로 저항이 변한 상태가 유지돼 각각의 상태의 전도성을 기준으로 0과 1을 구분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읽고 쓰기가 가능한 메모리 소자다.
한 번 저장된 정보는 전기를 공급하지 않아도 계속해서 상태가 유지된다. 연구진은 알루미늄을 입힌 실과 탄소섬유를 두 겹으로 붙여 이런 절연체와 전도체 특성이 번갈아 나타나는 옷감을 만든 것이다.
특히 이 전자옷감은 실 형태로 짤 수 있고 일반 빨래처럼 세탁기에 넣고 빨아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게 특징이다. 바느질이나 직조기를 써 전자옷감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도 있다.
이미정 교수는 “다양한 스마트 패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