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이하 수은)은 31일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리스크관리 강화와 철저한 자구노력 이행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수은 혁신안’을 발표했다.
전무이사와 상임이사 2명만을 남기고 나머지 6명의 부행장이 본부장으로 강등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남주하 수은 경영혁신위원장(서강대 교수)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혁신안은 리스크관리와 여신심사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개편해 견제와 균형 기능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데 초점을 두었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된 수은 혁신안은 ▲부실여신 재발방지 ▲고통분담을 위한 자구노력 ▲정책금융 기능 제고 등이 담겼다.
수은은 추가적인 부실여신 재발방지를 위해 ‘신용평가 3심제’를 도입한다. 신용평가 3심제는 여신부서와 심사부서가 1,2차 신용평가를 한 후 여신감리실의 신용등급 감리로 3차 평가를 해서 대출을 내주는 심사체계다.
특정 기업에 몰아주기 식 대출을 내주는 관행도 없애기로 했다. 이를 위해 수은은 동일인에 대한 여신 한도를 현행 자기자본의 60%에서 40%로 낮추기로 했다. 동일 차주에 대한 여신도 자기자본의 80%에서 50%로 낮춘다.
구조조정 업무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선 현행 1단 1실의 전담조직을 본부단위로 격상한다. 구조조정 전담 인력도 15% 늘리기로 했다. 구조조정 기업에 파견하는 경영관리단 자격요건도 신설해 단장은 부부장급 이상, 여신과 구조조정 업무 경력 5년 이상 직원 중에서 선발한다.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임이사 1명을 감축하고 사외이사 1명을 늘린다. 현재 수은의 이사회는 사내이사 4명, 사외이사 2명으로 구성돼 있는데 사내이사와 사외이사가 각각 3명씩으로 변경된다.
준정부기관에 준하는 기획재정부 경영평가도 도입된다. 이를 통해 수은은 부실여신을 감축하고 예산과 복리후생 등에 준정부기관의 지표를 준용할 계획이다.
임직원의 구조조정 기업 재취업도 전면 금지된다. 내부통제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해 준법감시인 제도를 도입해 직원 비위를 감시하고 법규준수를 점검한다.
본부 조직은 현행 9본부를 2018년까지 7본부로 축소해 슬림화한다. 지점과 출장소도 2018년까지 13개에서 9개로 줄이고 해외사무소는 2020년까지 25개에서 22개로 축소할 방침이다.
상임이사는 현재 2명에서 1명으로 감축하고 전무, 상임이사를 제외한 부행장의 직위를 본부장으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상임이사를 제외한 현재 7명의 부행장은 본부장으로 강등된다. 2018년에는 본부장도 6명으로 축소된다.
본부장의 출장비, 복리후생 등 처우를 직원과 동일한 수준으로 조정한다. 현재 190여명에 달하는 팀장급 이상 조직관리자수도 2020년까지 10% 감축한다. 전체 직원 정원(2016년 기준 962명)도 2021년까지 5%줄인다.
임원은 올해 연봉 5%를 삭감하고 성과급 전액을 반납한다. 2017년 임금인상분도 추가 반납한다. 직원들도 올해 임금인상분을 반납할 계획이다. 올해 경상경비의 10%를 삭감하고 내년 예산 3%도 추가 삭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