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부실하게 진행되고 있는 30개 부동산 사업장에 대해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을 해준 은행·보험·저축은행 등 25개 금융회사에 대해 대대적인 현장 점검에 착수한다. 부동산 PF 대출이란 프로젝트 자체의 사업성을 평가해 돈을 빌려둔 뒤, 사업이 진행되면서 생기는 수익금으로 대출금을 상환받는 금융 기법을 말한다.

금감원은 24일 PF 대출 잔액이 200억원 이상인 사업장 600여개 가운데 토지 매입률이 50% 이하에 불과한 사업장과 1년 이상 분양률 50% 미만 사업장 약 20개, 그리고 사업성 평가가 좋지 않은 사업장 10개 등에 대출해준 금융회사들을 중점 점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PF 대출 증가 규모와 PF 관련 보증액, 떼일 가능성 등을 감안해 금융권별로 3~5개사씩 총 25개 금융사를 검사 대상으로 선정했다.

금감원은 가계 부채를 확대시키는 주요 원인인 집단대출이 주로 부동산 PF를 통해 이뤄진다고 보고, 전국의 1900여개 부동산 PF 사업장에 대한 옥석(玉石) 가리기를 진행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전체 부동산 PF 대출 가운데 부실 비율은 약 7% 수준이다. 저축은행의 부실 비율이 17%로 가장 높고, 은행 6%, 보험은 0.9% 정도다. 금감원은 현장 점검에서 PF 대출 취급 시 여신심사 절차가 적정했는지, 사업장 평가를 제대로 실시했는지, 건전성 분류 및 충당금 적립 적정성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부실 비율은 낮지만 최근 급격히 PF 대출을 늘린 보험사도 주목하고 있다. 보험사들의 PF 대출은 2008년 6조원 수준이었으나, 2014년 7조8000억원, 작년 11조4000억원으로 급증한 뒤 올해는 상반기에만 13조4000억원으로 늘어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금리 시대에 수익원을 찾지 못한 보험업계에서 PF를 늘리는 것으로 보고 적정성 여부를 따져 볼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