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캐피털 회사라며 신용등급이 낮아도 대출을 해주겠다는 전화를 받았다. 대출 진행 비용과 이자 등 300만원을 요구해 먼저 보냈는데 연락이 끊겼다."
이처럼 쉽게 대출을 받을 수 있다고 속이거나 공공 기관을 사칭해 개인 금융 정보를 요구하는 보이스 피싱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금융 소비자들이 보이스 피싱 피해를 피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십계명'을 내놨다.
①정부 기관이라면서 자금 이체 요구하면 보이스 피싱=검찰·경찰·금감원 등은 어떤 경우도 전화로 자금 이체나 개인의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
②전화·문자 대출 권유는 대응 말라=최근 대출 빙자형 보이스 피싱이 많이 발생하므로 실제 존재하는 금융회사인지부터 확인해야 한다.
③대출 처리 비용 명목으로 선입금 요구하면 의심=정상적인 금융회사는 어떤 명목으로도 선입금을 요구하지 않는다.
④저금리 대출 위한 고금리 대출 권유는 100% 보이스 피싱=저금리 대출용 거래 실적을 쌓으려면 고금리 대출을 받아야 한다고 권유하는 정상적인 금융회사는 없다.
⑤채용 이유로 계좌 비밀번호 요구하면 의심=정상 기업은 채용 때 비밀번호나 공인인증서 등을 요구하지 않는다.
⑥자녀 납치했다며 입금을 요구하면 자녀 안전부터 확인=급하게 입금하기보다 자녀가 안전한지부터 확인하고 신고해야 한다.
⑦가족 등 사칭해 금전 요구 시 본인 확인=메신저로 돈을 요구하면 반드시 유선으로 본인임을 확인해야 한다.
⑧출처 불명 이메일·문자는 바로 삭제=출처 불명 파일을 열거나 다운로드하면 악성 코드에 감염돼 인터넷으로 금융거래 시 가짜 사이트로 유인될 수 있다.
⑨금감원 팝업창 뜨고 금융거래 정보 입력 요구하면 보이스 피싱=금감원은 인터넷으로 비밀번호나 보안카드 번호 등을 절대 요구하지 않는다.
⑩보이스 피싱 피해 발생 때 피해금 환급 신청=보이스 피싱에 속았다면 경찰에 신고하고 금융회사에 피해금 환급 신청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