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는 내년 주목해야 할 시장으로 VIM(베트남·인도네시아·미얀마) 3국을 꼽았다.

인도네시아에서 홈쇼핑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김경현 PT.MERDIS INTERNATIONAL대표가 17일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열린 ‘2016년 주목해야 할 아세안 Top 3 내수시장 진출전략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무역협회는 17일 서울 삼성동 트레이트타워에서 ‘2016년 주목해야 할 아세안 TOP3 내수시장 진출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아세안 10개국은 올해 말까지 아세안공동체(AEC)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이 공동체가 출범하면 인구6억2000만명, 국내총생산 2조5000억달러의 대규모 단일 시장이 형성된다.

무협 산하 국제무역연구원은 아세안 10개국 중 시장성과 성장성이 특히 높은 나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3개 국가를 선정했다.

인구가 9000만명에 이르는 베트남은 최근 중산층이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4번째 수출대상국으로까지 떠올랐다.

인도네시아는 2억5000만명의 거대한 내수시장을 갖고 있다. 미얀마는 최근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경제 개방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날 세미나에서 ‘인도네시아 내수시장 진출전략’, ‘비즈니스 관점에서 본 미얀마 진출’, ‘베트남 통상환경의 변화’ 등에 대해 토론했다.

지난 2007년부터 인도네시아에서 홈쇼핑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김경현 메르디스 인터내셔날 대표는 “인도네시아 진출을 위해서는 신뢰를 갖춘 현지 파트너가 필요하다”며 “현지고용인들을 지원하고 교육하는 것 뿐만 아니라 현지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법무법인 지평의 장성 미얀마법인장은 “미얀마는 노동력이 풍부한 시장이지만 부동산 시장의 공급 부족으로 토지 및 사무실 확보가 매우 어렵다”며 “계약을 맺거나 자금을 집행할 때 미얀마 법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고 했다.

김고현 무역협회 호치민지부장은 “우리의 대베트남 수출 중 소비재 수출은 7.7%에 불과하다”며 “최근 외국기업들이 베트남 소매유통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시장도 크게 성장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