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해상(海上) 플랜트 분야 등에서 2조원대의 누적 손실이 발생했지만,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않고 그동안 공개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11년 1척당 6000억원에 수주한 4척의 극지(極地) 리그(반잠수식 시추선) 건조 과정에서만 1조원 정도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14일 "대우조선해양이 자체적으로 조사를 하고 있는데 2조원 정도의 손실이 그동안 실적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한다"면서 "최종적인 손실 규모는 다음 달 초에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상 플랜트는 고정식이나 이동식 원유 시추·생산 시설 등이다. 대주주인 산업은행 관계자는 "해상 플랜트 사업 분야 외에 루마니아의 대우망갈리아중공업 등 자회사 부실도 예상보다 크다"면서 "손실이 3조원에 육박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과 함께 조선업계 '빅3'로 불리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그동안 쌓였던 부실을 실적에 반영했다. 현대중공업은 3조2495억원에 달하는 사상 최대 영업 손실을 기록했고, 삼성중공업도 해상 플랜트 사업에서 발생한 7500억원의 손실을 반영해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80% 줄어든 1830억원에 그쳤다. 그러나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4508억원의 영업이익을 발표했다. 지난달 취임 직후 정성립 사장은 "조선 '빅3'의 해양 플랜트 비중이 비슷한데 과연 작년에 우리만 잘했을까 의문이 들었다. 실상을 파악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대우조선해양의 부실 규모가 공개되면 성동조선 등 중형 조선소의 경영난이 악화된 상태에서 조선업종의 회사채 만기 연장 등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구조조정 지원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 연말까지 5000억원 정도의 회사채 만기가 돌아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 자회사 가운데 실적이 악화된 대우망갈리아중공업 등 5~6곳을 청산, 매각 등의 방법으로 정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