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은 6일 앞으로 다가온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위한 임시 주주(株主)총회를 앞두고 전방위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은 10일 합병 법인의 주주 친화 정책을 구체적으로 밝히면서 주주 설득에 나섰다. 두 회사는 "합병 삼성물산은 실질적인 주주 권익 보호를 위해 사외이사 3명과 주요 주주의 추천을 받은 1명을 포함한 외부 전문가 3명으로 구성된 거버넌스 위원회를 운영할 계획"이라며 "사회공헌기금을 영업이익의 0.5% 규모까지 확대해 운영하고 회사 경영 상황과 계획을 공유하는 주주 간담회를 정기적으로 열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별개로 삼성물산·제일모직 최고경영자(CEO)와 임원은 물론, 일반 직원까지 주말을 반납하고 출근해 주주들의 표심(票心)을 잡기 위한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했다. 삼성 측은 찬성 주주 표가 적어도 47% 이상은 돼야 하며 안정권은 53% 정도로 보고 있다. 주주총회 출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합병안이 통과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47%와 53%는 주총 출석률을 각각 70, 80%로 가정해 산정(算定)했을 때 필요한 수치다.
찬성표 53% 확보를 목표로 삼성물산은 이달 들어 상황실에 해당하는 '워룸(war room)'을 만들어 실시간으로 표 계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물산은 특히 지분 24.43%를 갖고 있는 소액주주들에게서 찬성 위임장을 받기 위해 다양한 TF(태스크포스)를 가동하며 막바지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소액주주들의 성향과 거주 지역별로 TF를 나눠 맨투맨 접촉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위해 삼성물산·제일모직·삼성그룹 등에서 IR(투자 설명회) 업무를 맡았던 전직 임직원들까지 다시 불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연금이 이날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찬성 입장을 정해, 삼성으로서는 또 하나의 큰 고비를 넘겼다. 국내 기관투자자들은 국민연금과 비슷한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증권가에서는 보고 있다. 그러나 국민연금을 포함한 국내 기관투자자가 모두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찬성하더라도 삼성 측이 확보한 찬성표 비율은 42% 정도에 불과하다. 합병이 이뤄지려면 최소 5%포인트 이상, 안심하려면 적어도 10%포인트 이상의 우군(友軍)을 모으는 게 '발등에 떨어진 불'이 됐다.
삼성물산 주식을 갖고 있는 외국인 주주는 대부분 의결권 행사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보통 외국인 주주는 시간적·물리적 제약 등으로 직접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못해 '부재자 투표'처럼 상임 대리인에게 권한을 위임하는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한다. 한국예탁결제원 전자투표 시스템에 접속해 의결권을 행사하는데, 주총일 전 5거래일까지 열어둬 지난 9일 마감됐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의결권 결과는 주총 당일 공개된다.
한편, 삼성물산 합병에 반대하는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는 10일 "그동안 소액주주들이 스스로 권리를 지키기 위해 놀랍고 역사적인 수준의 행동력을 발휘하는 것을 지켜봤다"며 "소액주주들이 합병안을 반대할 것을 촉구한다"는 성명을 내면서 여론전을 펼쳤다.
입력 2015.07.11. 03:20
오늘의 핫뉴스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