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어서 들어오는 커브볼을 타자가 치기 어려운 이유를 국내 연구진이 알아냈다. 타자가 종종 공의 위치를 착각하는 것은 인간의 뇌가 너무 똑똑해서 일어나는 일이라는 설명이다.

유니스트(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권오상 교수팀은 인간이 야구공처럼 움직이는 대상을 볼 때 뇌에서 정교한 추론이 진행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24일 밝혔다.

투수가 휘어서 날아가게 던진 공은 곡선을 그리며 이동한다. 타자의 눈은 이 경로를 쫓지만 실제로 공의 위치를 제대로 파악해 방망이로 맞추기는 쉽지가 않다. 뇌가 공의 궤적을 실제와 다르게 인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을 ‘커브볼 착시’라고 부른다.

연구진은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 착시 때문이 아니라 뇌에서 일어나는 정교한 추론 때문이라는 점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움직이는 물체를 시야의 어느 곳에 두느냐에 따라 뇌가 위치 해석을 바꾼다”고 설명했다.

움직이는 물체가 시야의 중심에 있으면 뇌는 실제 위치를 그대로 파악한다. 하지만 시야 주변에 있는 경우 뇌는 초점에서 멀어져 부정확해진 위치 정보를 보완하기 위해 움직임 신호를 보고 위치를 계산한다. 눈에 들어온 정보와 공이 날아온 궤적을 해석해 현재 위치를 추론한다는 것이다.

뇌의 이런 활동은 위성항법장치(GPS) 정보를 활용하는 내비게이션과 비슷하다. 터널에 들어서 GPS가 끊기면 내비게이션은 지나온 경로와 최근 GPS 신호를 조합해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권 교수는 “위치에 대한 착시가 일어나는 것은 뇌가 착각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똑똑하다는 증거”라면서 “이번 연구는 우리 뇌가 공학자들이 고안한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이미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 15일(현지시각)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