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이후 우리나라 중산층의 소득은 늘어났지만, 주거·교육 지출 부담이 커지고 여가 소비는 위축되며 삶의 질이 악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2일 발표한 ‘우리나라 중산층 삶의 질 변화’ 보고서에서 “1990~2013년 우리나라 중산층의 삶의 질을 살펴보기 위해 소득(소득·고용)과 지출(주거·교육·여가·건강) 부문 6가지 항목을 계층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중산층의 총소득증가율은 다른 소득 계층보다 높았고 무직(無職) 가구주 비율도 하락했지만, 지출 부문에서 주거·교육비 부담은 커지고 여가·건강 소비는 상대적으로 위축된 모습이었다”고 밝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가구원 수를 고려한 균등화가처분소득으로 중위소득의 50~150%에 속하는 계층을 중산층으로 정의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이 기간 중산층의 총소득증가율은 연평균 7.0%로 고소득층(6.8%), 저소득층(6.1%)보다 높았다. 또 중산층 적자가구 비율도 최근 감소 추세를 보여 가계수지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중산층 중 적자가구(가처분소득
현대경제연구원은 “중산층 가구의 소득 여건은 개선됐지만 지출 항목을 보면 이들 가구의 삶의 질이 개선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중산층의 전세보증금은 1990년~2013년 연평균 11.8% 상승해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중산층 전세가구의 가처분소득 대비 보증금 부담은 1990년대 1.1배였지만, 2013년 3.1배로 크게 증가했다. 중산층 가구가 전세보증금을 마련하려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3.1년을 모아야 한다는 의미다.
교육 지출도 크게 늘었다. 중산층 가구의 전체 소비 중 교육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13.4%에서 2013년 20.9%로 크게 늘었다. 저소득층(20.2%)과 고소득층(19.3%)보다 전체 지출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반면 중산층 가구가 여가를 위해 사용하는 오락·문화지출 비중은 1990년 5.9%에서 2013년 5.3%로 0.6%포인트 하락했다. 보건·의료비 지출 비중 역시 같은 기간 6.5%에서 6.4%로 0.1%포인트 내렸다.
연구원은 “중산층의 삶의 질을 높이려면 소득 개선도 필요하지만 주거·교육비 등 지출 측면에서 과중한 부담을 완화하고 여가 소비를 확대해야 한다”며 “전·월세 주택 공급 확대와 대출 여건 개선으로 중산층의 전·월세 부담을 완화하고, 공교육 정상화를 통해 과중한 사교육비 부담도 줄여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