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자동차의 지난해 국내 시장 점유율이 처음으로 70% 아래로 떨어졌다. 이런 저조한 판매량은 두 회사가 합병한 1998년 이후 처음이다. 수입차와 한국GM과 르노삼성 등 국내 완성차 판매량이 늘어난 결과로 분석된다.
8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기아차의 내수 시장점유율은 2013년보다 2.1%포인트 낮아진 69.3%로 집계됐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점유율은 각각 41.3%, 28%를 기록했다.
현대·기아차는 1998년 현대차가 기아차를 인수합병한 시점부터 줄곧 국내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유지했었다. 2007년 현대·기아차는 점유율이 70.5%까지 내려가긴 했지만, 2009년 다시 76.8%로 올라섰다. 하지만 2012년 74.6%에서 2013년 71.4%로 떨어지더니 결국 지난해에는 70% 선을 못 넘겼다.
현대·기아차 점유율이 하락한 것은 지난해 국내 다른 완성차 업체의 판매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국내 시장에서 판매량은 현대·기아차가 다른 완성차보다 월등히 많다. 하지만, 2013년도와 비교한 판매 성장률에서는 현대·기아차가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지난해 국내에서 전년과 비교해 판매량이 각각 6.9%(68만5191대), 1.6%(46만5200대) 늘었다.
반면 르노삼성차는 지난해 국내에서 8만3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보다 판매량이 33.3% 늘어난 수치다. 쌍용차도 지난해 국내에서 6만9036대를 팔아 2013년보다 판매가 7% 이상 증가했다. 한국GM은 같은 기간15만4381대를 판매하며 2002년 출범한 이래 최대 실적(연간기준)을 기록했다.
수입차의 판매량이 크게 늘어난 것도 현대·기아차 판매량에 영향을 줬다. 지난해 국내에서 팔린 수입차는 모두 19만6359대로 집계됐다. 2013년보다 25.5% 늘어난 규모며, 역대 최고치이다.
수입차 판매량은 3년 연속 20%가 넘는 고속성장을 이어갔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국내 승용차 시장에서 수입차 점유율은 1년 전보다 1.8%포인트 상승한 13.9%로 높아졌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는 올해 수입차 판매량을 21만5000대로 전망했다.
현대차는 올해 내수 시장 목표를 69만대, 기아차는 48만대로 잡았다. 이는 지난해 목표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자동차 업계 일부 관계자들은 현대·기아차가 수출에 주력하면서 국내 소비자들을 자연스럽게 잃었다고 지적한다. 또 수입차와 연비 경쟁력 강화에 더 신경을 써야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
이와 관련해 현대·기아차는 지난해 10월 국내영업본부에 소비자 전담 조직인 국내 커뮤니케이션실을 신설하는 등 인식 개선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경기가 좋지 않아 올해 내수 판매 목표를 보수적으로 잡았다"며 "신차 출시를 통해 내수 시장 확대에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