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수도계량기 동파 정책지도'를 제작했다고 2일 밝혔다.
서울시는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신고 접수된 수도계량기 동파 1만2920건의 위치와 주택유형 등의 기초자료를 공간정보(GIS) 기술로 분석했다. 서울 정책지도는 시가 보유한 각종 행정데이터와 지리정보시스템을 결합한 공간정보 빅데이터를 지도 위에 시각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수도계량기 동파 정책지도'는 서울시 겨울철 급수대책에 반영하고 시민들의 자발적인 동파 예방활동을 유도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다. 이날 공개된 지도에 따르면 보면 지난 2년간 중구, 노원구, 마포구, 송파구 일부 지역의 수도계량기 동파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지역과 주택유형별로는 2일~6일차까지는 노원, 마포, 양천, 송파구 지역의 복도식 아파트, 5일~7일차까지는 은평, 마포, 양천구 지역의 다세대·연립주택, 9일~11일차까지는 동대문구, 광진구, 강서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를 중심으로 서울시 전역 소규모 상가 동파가 급증했다. 영하 5도 이하 한파지속기간에는 이튿날부터 수도계량기 동파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내 집 주변의 동파현황을 지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한파 시 수돗물을 조금씩 틀어 놓는다든지 수도계량기를 헌 옷으로 감싸 놓는 등 시민들의 자발적인 예방활동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스마트서울맵 앱과 서울지도 홈페이지(http://gis.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