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한계기업 부채를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등 구조개혁으로 체질을 개선해야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주형환 기획재정부 1차관)
"어려운 경기를 고려해 금리 인하를 했지만, 가계부채 동향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급증하는 가계부채를 놓고 한목소리로 우려를 나타냈다. 주 차관과 이 총재는 21일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열린 ‘송도·연세 글로벌 리더스 포럼’에 참석해 가계부채를 선제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먼저 발표자로 나선 주 차관은 “주택시장이 정상화되며 늘어나는 가계부채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가계부채 총량을 줄이면서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작은 장기·고정금리·비거치식상환 대출 비중을 늘리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를 강조하는 이유는 내년 미국·일본 등 주요국의 통화정책이 변하며 우리 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주 차관은 “대내외 여건이 변하면 우리 경제가 다시 어려워질 수 있다”며 “미국·일본 통화정책 변화에 대비해 충격을 증폭시킬 수 있는 국내 요인을 사전에 조정해야 한다”고 했다.
이 총재 역시 “저물가 상황을 고려해 올해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했지만, 가계부채 문제는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다”며 “앞으로 통화정책을 수행할 때 거시경제 리스크와 가계부채, 자본유출 등 금융안정 리스크를 균형 있게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세계 금융위기 이후 많은 국가들은 부채 규모를 줄였지만 우리나라는 가계부채가 계속 늘었다”며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60%로 대부분 선진국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했다.
한편 이 총재는 “미국 금리 인상 시기를 예단할 수 없지만 국제금융시장에서 전망하는 시기는 내년 중반 이후 하반기”라며 “미국 금리 인상으로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나라는 펀더멘털이 취약한 신흥국”이라고 했다. 그는 “미국 금리 인상의 영향이 각국마다 다를 수 있다”며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경제에 충격을 줄) 가능성에 대비해 항상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