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은 대담록에서 "대우 계열사들에 투입된 공적자금은 모두 회수하고도 남았으며, 이것만 봐도 대우가 국가 경제에 피해를 줬다고 얘기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김 전 회장은 더 나아가 "우리(대우) 채권을 출자전환(대출금을 자본금으로 바꾸는 것)했던 금융기관들은 4조원 넘게 돈을 벌었다"고도 했다.
반면 공적자금을 관리하는 금융위원회는 대우 부실 때문에 투입된 공적자금은 여전히 손실 상태라고 반박했다. 공적자금 회수 규모와 관련해 김 회장 측과 금융위 간에는 무려 13조8000억원의 차이가 난다.
먼저 공적자금 투입 규모부터 차이가 난다. 대담록에서 밝힌 대우 측 계산에 따르면, 대우 부실로 인해 투입된 공적자금은 22조2000억원이다. 반면 금융위는 총 공적자금을 29조8000억원으로 추산했다. 정부 측 추산액이 대우 측보다 7조6000억원 많은 셈이다.
공적자금 회수 규모도 크게 차이 난다. 대우 측은 공적자금 회수 규모가 공적자금 투입보다 1000억원 더 많다고 주장한다. 여기에 정부가 대우차를 잘못 처리해서 손해를 본 6조1000억원까지 합치면 6조2000억원이 더 회수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위는 아직까지 회수 못한 공적자금이 7조6000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