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외부 충격에도 터지지 않는 전고체 배터리와 사탕보다 작은 커브드(곡면) 배터리를 16일 서울시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전시회에서 공개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내부 전해질을 액체나 젤리(폴리머) 성분이 아닌 고체를 적용한 것으로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전고체 배터리는 외부 충격으로 구멍이 뚫려도 전해질이 새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는 현재의 액체 전해질을 주입하지 않기 때문에 향후 웨어러블 기기에 쓰일 초박막 형태가 가능하고 전기차, 스마트 기기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수의 전극(양극, 음극)을 여러 겹 쌓을 수 있어 기존의 여러 개 배터리를 하나의 고전압ㆍ고밀도 배터리로 만들 수 있다.
이 제품이 상용화되면 구부리거나(bendable), 돌돌 말거나(roll-able), 종이처럼 접을 수 있는(fold-able)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를 만드는 일이 수월해질 것으로 삼성SDI는 전망했다.
삼성SDI는 고체 전해질을 만드는 기술을 작년에 확보한 데에 이어 내년까지 이를 기반으로 중대형 배터리에 적용할 계획이다. 2015년에는 세계 최초로 현재의 리튬이온 배터리와 동등 수준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한다는 목표다.
이날 삼성SDI는 최근 출시된 '갤럭시 기어'나 '구글 글라스'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에 탑재할 수 있는 다양한 커브드(곡면) 배터리를 선보였다.
삼성SDI는 가로 0.4cm, 세로 1.3cm의 초소형 커브드 배터리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휘어진 정도가 커서 헬스케어, 스마트워치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고 삼성SDI는 설명했다. 또한 가로로 휘어진 커브드 배터리와 세로 방향으로 휘어진 커브드 배터리를 동시에 선보여 다양한 IT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캔 타입의 각형 커브드 배터리는 다른 커브도 배터리의 폴리머 타입과 달리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삼성SDI측은 "커브드 배터리는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이 늘어나는 최근 IT 환경에 필수 아이템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