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향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추진 대상국에 대해 러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호주 등 자원 부국(富國)에 초점을 맞추기로 방침을 정했다. 또 FTA 협상 타결에 초점을 두면서 '동시다발'적 FTA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던 과거 양적 성장 기조에서 벗어나 FTA의 활용률을 높이는 등 이미 체결된 FTA의 질을 높이는데 역점을 두기로 했다.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통상당국은 이달 중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신(新) 통상 로드맵'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 같은 방침에 따라 향후 FTA 협상은 협상국의 우선순위를 정해 선택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우리나라와 FTA 협상이 진행 중인 국가는 13개국, 협상에 앞서 공동연구 등 사전 준비를 하는 곳은 총 15개국으로, 과거와 같이 이들 FTA를 모두 동시에 추진하지 않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향후 협상 일정을 조율해 나간다는 것이다.

정부는 아시아 역내 경제통합 수준이 유럽연합(EU)이나 북미 등 다른 나라보다 낮다는 판단에 따라 한·중, 한·중·일 FTA, 역내포괄적경제협정(RCEP) 등을 활용해 중국, 일본과의 경제통합 수준을 끌어올린다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정부는 수출 확대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FTA뿐 아니라 중동, 동남아, 중남미 등 신흥국과의 경제협력의 대상국과 범위도 넓히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이달 중 '신흥국 협력 로드맵'을 세우기로 했다. 또 아·태지역과 유럽의 물류거점인 극동 시베리아 지역의 개발협력 활성화 방안을 이달 중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우선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지원을 늘리기 위해 조달 재원 방식도 정부 재원 외에 수출입은행의 자체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지원 방식도 양허성 차관 이외에 준(準)상업차관, 출자, 보증 등을 활용하기로 했다. 정부는 올해 ODA와 관련해 총 6686억원의 기금을 집행한다는 방침이다. 또 경제발전경험공유(KSP) 프로그램의 활용 범위를 넓혀 중소기업의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